Franz Xaver Wolfgang Mozart (1791-1844)

Piano Quartet No.1 in g Op.1


 - 모차르트의 자녀는 총 4남 2녀였는데, 생후 1년 내에 죽은 네 명을 제외하고 살아서 장성한 자식은 아들 두 명입니다. 그 중 2남인 카를 토마스 모차르트(1784-1858)는 음악 교육을 중도에 포기하고 공무원으로 평생을 살았으며, 막내아들인 프란츠 크사퍼만 음악인의 길을 걷게 됩니다.


 - 프란츠 크사퍼는 아버지 모차르트가 사망한 1791년 태어났고, 아버지가 사망할 당시 4개월 남짓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전혀 없었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프란츠 크사퍼'라는 이름은 아버지의 유명한 제자 중 하나인 프란츠 크사퍼 쥐스마이어(1766-1803)의 이름과 같은데, 이 때문에 프란츠 크사퍼가 알고보면 쥐스마이어의 자식일 것이라는 음모론이 있기도 했습니다(사실무근).


 - 어머니 콘스탄체 베버(1763-1842)는 모차르트 사후 게오르크 니콜라우스 폰 니센(1761-1826)과 재혼하였는데, 정식 재혼은 1809년으로 한참 뒤였지만 이미 1790년대 후반부터 두 사람은 연인 관계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니센은 덴마크의 외교관으로 모차르트의 팬이기도 했는데, 콘스탄체가 모차르트의 악보집을 출판할 때 협력한 것이 인연이 되었다고 합니다. 여담으로 니센은 모차르트의 전기를 쓰다가 완성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 아무튼 콘스탄체와 니센의 관계가 진전되면서 모차르트의 두 아들도 두 사람의 밑에서 자라게 됩니다. 때마침 둘 모두 생부를 닮아 음악에 재능이 있음을 알게 된 콘스탄체와 니센은 이들에게 체계적인 음악 교육을 시켰습니다. 프란츠 크사퍼의 경우 요제프 하이든, 안토니오 살리에리, 요한 네포무크 훔멜(1778-1837) 등 당대 굴지의 음악가들에게 교육을 받았습니다.


 - 음악적 재능은 동생이 더 많았는지, 중도에 음악을 포기한 형에 비해 프란츠 크사퍼는 아버지 못지않은 재능을 과시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게 됩니다. 그는 아버지의 후광을 업고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2세'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는데, 이것이 오히려 그의 재능을 옥죄었는지 이후 프란츠 크사퍼의 음악은 아버지 시대의 스타일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 그는 청장년기에는 주로 렘베르크(現 폴란드 리비우)를 중심으로 피아니스트와 작곡가, 음악교육자 등의 다양한 활동을 하였습니다. 물론 렘베르크뿐 아니라 전 유럽에 걸쳐 연주와 지휘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는데, 전성기라 볼 수 있는 1820년대에는 400명의 아마추어 가수로 조직된 '성 체칠리아 합창단'을 결성하여 지휘를 맡았고, 유명 작곡가 50인이 공동으로 참여한 변주곡 프로젝트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1838년 비엔나로 돌아왔고,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설립식에서 합창 지휘를 맡았습니다. 모차르트의 아들이었으니 모차르테움의 음악감독을 맡아도 이상할 것이 없었지만 성사되지는 않았는데, 프란츠 크사퍼가 아버지의 후광을 상당히 부담스러워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1841년부터는 카를스바트(現 체코 카를로비바리)에 거주하면서 교육에 전념하던 중, 1844년 위암으로 사망하였습니다.


 - 상술했듯이 프란츠 크사버가 음악인의 길을 걷는 데는,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재능과 아버지의 후광이 크게 작용한 바 있습니다. 반면 아버지의 이름값이 그에게 지나치게 많은 영향을 주는 바람에, 그의 작품세계가 아버지의 그것을 벤치마킹한 수준에서 크게 발전하지 못한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사후에는 아버지의 명성에 완전히 묻히는 신세가 되어버리고 말았습니다.


 - 그리고 아버지의 이름값에 눌려 살다 보니 인간적으로도 그리 행복하게 살지는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버지와 비교당하는 것을 상당히 부담스러워했으며, 성격 또한 전반적으로 내성적이고 겸손한 성향을 보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부담감과 성격 문제 때문인지 평생 솔로 독신으로 살았고 자녀도 없는데, 하필 그의 형도 평생 독신으로 사는 바람에 모차르트의 대는 이들을 끝으로 끊어지고 말았습니다. ㅡㅡ;


 - 피아노사중주 1번은 공식 작품 번호가 붙은 첫 작품으로, 11세 때 완성하였습니다. 이 작품을 들으면서, 과연 그가 '모차르트'가 아닌 '프란츠 크사퍼'로서 평생을 살았다면 과연 어떤 음악세계를 보여주었을까 하는 생각을 짧게 해 봅니다.





Nikolay Yakovlevich Myaskovsky (1881-1950)

Symphony No.25 in Db Op.69


 - 당시 러시아의 식민지였던 폴란드 지방에서 출생한 니콜라이 먀스콥스키는, 어려서부터 음악 관련 활동을 했지만 공병 장교였던 아버지를 따라 사관학교를 졸업하였고 공병 장교로 복무하였습니다. 다만 음악가의 꿈을 포기하지는 않았고, 틈틈이 개인교습을 받다가 스승인 라인홀트 글리에르(1875-1956)의 추천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 입학하게 됩니다.


- 음악원에서는 아나톨리 랴도프(1855-1914)와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1844-1908)를 사사하였고, 동시에 전위적인 모습을 보이던 알렉산드르 스크랴빈(1872-1915)이나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1891-1953) 등의 영향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프로코피에프와는 동문수학한 사이로 이후에도 오랫동안 친교를 유지하였습니다.


- 1911년 졸업 후 모교 강사와 평론가 등으로 활동하다가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이후 장교로 재징집당했고, 러시아 혁명과 적백내전 시기에는 구 제국군 장교 출신이라는 이유로 아버지가 살해당하고 가족들 중 다수가 사망하는 비극을 겪기도 하였습니다. 자신은 붉은 군대에 동참하였고, 1921년 제대 후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로 일하게 되었습니다.


- 이후로는 음악교육자로 활동하면서 교향곡을 중심으로 한 작곡 활동을 병행해 나갔습니다. 이 무렵부터 작품 성향이 상당히 보수화되었는데, 이 때문인지 스탈린의 대숙청에서 별 피해를 입지는 않았지만 그 역시 프로파간다 작품을 발표하는 등 체제와 타협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 제2차 세계대전 시기에는 시베리아로 피신하였고, 그 와중에도 활동을 계속해 나갔습니다. 그런데 전쟁 후 1947년 '즈다노프 비판' 때는 먀스콥스키 역시 폭풍을 피해가지 못하여, 쇼스타코비치나 하차투리안 등의 다른 작곡가들과 마찬가지로 엄청난 공격을 당하고 gg를 선언해야 했습니다. 여기서 받은 스트레스에 암이 겹쳐, 결국 몇 년간의 투병 끝에 1950년 사망하였습니다.


- 그의 작품세계는 주로 기악, 특히 교향곡이나 현악사중주 쪽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가 발표한 교향곡은 총 27곡으로 역대 러시아 출신 작곡가 중 가장 많습니다. 젊은 시절에는 새로운 사조의 음악에도 관심을 가졌고 오페라나 발레음악을 시도한 흔적도 있는데, 나이가 들면서 오히려 보수화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교육자로서의 모습이 작곡 성향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추정됩니다.


- 교육자로서도 많은 흔적을 남겼는데, 그의 가르침을 받은 작곡가 중 아람 하차투리안(1903-1978)이나 드미트리 카발렙스키(1904-1987) 등 다수가 구소련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 성장하게 됩니다.





Johan Halversen (1864-1935)

Suite Ancienne Op.31


 - 할보르센은 노르웨이 출신의 작곡가, 지휘자 겸 바이올린 연주자입니다. 초년부터 바이올린 연주자로 이름이 알려졌으며, 스톡홀름 음악원 졸업 후 콘서트마스터(악장)로 활동하며 헬싱키 음악원의 교수를 역임하던 중 상트페테르부르크, 라이프치히 등지에서 다시 음악 교육을 받았습니다.


  - 이후 노르웨이로 돌아와 베르겐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악장, 베르겐 국립극장 오케스트라 지휘자, 크리스챠니아(현 오슬로) 국립극장 오케스트라 지휘자 등을 역임하였고, 제1차 세계대전 직후에는 오슬로 음악애호협회 오케스트라(현 오슬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초대 음악감독을 맡아 활동하기도 하였습니다.


  - 그는 작곡가로서는 30곡 이상의 오페라와 연극 부수음악, 다수의 관현악곡 등의 작품을 썼으며, 에드바르트 그리그(1843-1907)의 노르웨이적 전통을 창조적으로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 외에도 대중들에게는 헨델의 하프시코드용 파사칼리아를 바이올린-비올라 이중주로 편곡한 것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Alan Hovhaness (1911-2000)

Symphony No.2 Op.132 <Mysterious Mountain>


  - 본명은 앨런 바네스 차크매키언(Alan Vaness Chakmakjian). 아버지가 아르메니아계였고, 자신의 음악세계 또한 아르메니아 쪽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 있습니다. 4세 때부터 작곡을 했으며, 10세 때 이미 2개의 오페라를 작곡하여 무대에까지 올릴 정도로 천재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 호바네스는 고등학교 졸업 후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음악 교육을 받았으며, 1934년에는 핀란드 여행을 하였는데 이 때 장 시벨리우스(1865-1957)와 친분을 쌓게 됩니다. 1942년 탱글우드 뮤직센터에서 아론 코플랜드(1900-1990)와 레너드 번스타인(1918-1990)이 그의 작품을 강하게 비판한 일이 있었는데, 이후 호바네스는 그 때까지의 자기 작품 대부분을 폐기해 버렸습니다.


  - 1948년 보스턴 음악원 교수로 부임하지만, 3년 후 뉴욕으로 옮겨 작곡 활동에 전념하게 됩니다. 작곡가로서 이름을 떨치게 된 계기는 1955년 초연된 교향곡 2번 <신비로운 산>으로,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1882-1977)의 지휘로 연주되어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 위에 언급한 작품 폐기 사건 이후 호바네스는 주로 전통 음악, 특히 아버지의 고향인 아르메니아 전통 음악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자신이 10여 년간 아르메니아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활동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아르메니아뿐 아니라 아시아 음악에도 많은 관심을 보여, 일본과 한국, 인도 등 아시아 국가들을 직접 여행하며 이 지역의 음악들을 직접 접하기도 하였습니다.


  - 상당한 다작(多作)을 했는데, 작품번호가 붙은 것만 400곡 이상이고 그 중 교향곡은 67곡에 이릅니다. 전반적으로 현대문명의 파괴성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것 같은데, 1971년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매우 위험한 시대를 살고 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파괴할 수 있다는 것이 공포스럽다"라는 언급을 한 적이 있습니다.


  - 1960년대 중반 이후로는 유럽을 여러 차례 방문하였고, 특히 스위스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활동하였습니다. 아르메니아에는 딱 한 번 방문하였는데 1965년 미국 정부의 후원하에 대표단의 일원으로 조지아와 아르메니아를 방문한 것이 유일합니다.


  - 여담으로 교향곡 16번의 정식 제목은 <한국의 가야금, 타악,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향곡 16번>으로, 호바네스는 1963년 아시아 여행 중 한국을 방문하고 한국의 전통음악을 접하며 받은 강한 인상을 바탕으로 이 작품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교향곡 16번의 초연은 가야금 명인 황병기(1936-)씨와 KBS 교향악단의 연주로 이루어졌습니다.





Vasily Sergeyevich Kalinnikov (1866-1901)

Symphony No.2 in A


 - 바실리 칼리니코프는 러시아의 작곡가로, 하급관리의 아들로 태어나 경제적으로 상당한 곤란을 겪으며 성장하였습니다. 음악적 재능은 일찍부터 보였지만 경제력이 뒷받침되지 않았기 때문에, 청소년기의 대부분 동안 음악활동과 노동을 병행하며 극도로 힘든 시기를 보냈습니다. 이 시기에 몸을 혹사한 결과 그는 나중에 자신의 생명을 앗아갈 결핵을 지병으로 얻게 됩니다.


 - 그렇게 악착같이 모은 돈으로 칼리니코프는 모스크바 음악원에 입학할 수 있었지만, 1년 후 음악원을 그만두고 필하모닉 소사이어티 학교로 재입학하는데 여기서는 관현악단 활동을 하면서 전액 장학금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그래도 여기서 몇몇 우수한 스승에게 체계적인 지도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 1892년 학교를 졸업한 후 칼리니코프는 모스크바 마루이 극장의 지휘자로 지원하였는데, 이 때 심사위원이었던 차이콥스키가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그를 지휘자로 추천하게 됩니다. 드디어 음악가로서 본궤도에 오르나 했지만 이 무렵부터 결핵이 그의 발목을 잡게 되어, 건강이 악화된 칼리니코프는 지휘자직을 사임한 후 기후가 온화한 흑해 근방으로 요양을 떠났습니다.


 - 그의 작곡 활동은 이 무렵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1895년 완성한 교향곡 1번이 러시아를 넘어 전 유럽에 알려지면서 드디어 그는 유명 음악가의 반열에 오르게 됩니다. 또한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P. 유르겐손(차이콥스키 등을 지원한 모스크바의 출판업자) 등의 후원을 받기도 했지만, 결국 그를 가로막은 것은 건강 문제였습니다.


 - 그의 일생에 남은 시간은 단 5년 뿐이었고, 계속 건강이 악화되는 과정에서도 꾸준한 작품 활동을 하였지만 결국 짧은 시간동안 많은 작품을 남기지는 못한 채 3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두 개의 교향곡, 미완성 오페라 <1812년>, 톨스토이의 사극에 붙인 극음악 <황제 보리스> 등이 있습니다. 교향곡 2번은 1897년 완성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