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x Bruch (1838-1920)

<Kol Nidrei> Op.47

연주 : 한국교사오케스트라 (2016 겨울 연주회)


 - '콜 니드라이'의 어원은 아람어 '콜 니드레(כָּל נִדְרֵי)'입니다. 이는 유대교의 속죄일에 부르는 성가 중 하나로 아람어 단어로는 원래 '모든 서약'이라는 의미이며, '신의 날'이란 '욤 키푸르'라는 속죄일 명칭의 의미입니다. 이 노래는 신(야훼)과 유대인 사이에 맺어진 약속(서약)을 유대인들 자신이 지키지 못한 데 대하여, 신에게 용서를 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브루흐는 평소 각국의 민속음악에 관심이 많았는데, 그가 지휘하는 합창단의 유대인 단원 하나가 이 성가의 선율을 그에게 알려주었다고 합니다. 속죄일에 부르는 노래답게 전반적으로 차분하고 경건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좋은 협주곡을 많이 남긴 브루흐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여담으로 브루흐는 유대인이 아닌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 작품 하나 때문에 유대인으로 오인받고 나치 독일 시대에는 그의 작품이 금지곡이 되기까지 했다는군요.


[후기] 소싯적에는 웅장하고 힘차고 신나는 곡을 주로 들었는데, 나이가 조금씩 들면서(물론 지금도 그렇게 나이든 건 아닙니......) 경건하고 차분한 작품에도 조금씩 흥미가 붙더군요. 작품의 배경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단히 종교적이며 경건한 작품입니다. 이런 작품들을 감상하노라면 듣는 사람의 마음도 차분해지고, 자기 자신을 돌아볼 수 있게 된다는 게 참 좋습니다.




Camille Saint-seans (1835-1921)
Symphonic Poem <Danse Macabre> Op.40
연주 : 한국교사오케스트라 (2016 겨울 연주회)

 - <죽음의 무도>는 중세 말기 이래로 전해진 유럽의 괴담에 기원하고 있습니다. 중세 말기는 흑사병의 대유행 등으로 죽음에 대한 공포가 극에 달한 시기였고, 이 시기의 예술은 죽음을 소재로 한 경우가 많이 있었습니다. 그 가운데 시체들이 무덤에서 일어나 산 사람을 만나거나 무덤에서 춤추는 모습을 그린 미술작품이 이 시기 이래로 많이 만들어졌는데, 이들을 통칭하여 <죽음의 무도>라고 합니다. 이는 죽음의 보편성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 생상스의 이 작품도 그러한 흐름을 따르고 있는데, 직접적인 소재는 앙리 카잘리스(1840-1909)가 쓴 시에서 따 왔습니다. 시에서 따 온 작품이라 처음에는 성악곡으로 작곡하였는데, 이후 성악 파트를 바이올린 독주로 바꾸어 순수 관현악곡으로 만든 버전이 일반적으로 연주됩니다. '죽음'이 주제이긴 하지만, 해골들이 춤추고 노는 모습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한 것이라 곡의 분위기는 어둡거나 슬프지는 않습니다. 생상스는 이 작품의 선율을 <동물의 사육제>에 살짝 인용하여 써먹기도 하였습니다.


[후기] 이 작품을 언젠가 연주해본 줄 알았는데 아니었던 모양입니다(이 작품과 헷갈렸던 듯). 이 작품에서 상당히 인상깊었던 점이라면, 솔로 바이올린이 평소와 다른 음으로 튜닝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E현을 Eb로 튜닝해야 하는데, Eb 음을 개방현으로 소리내기 위해서지요(이러한 기법을 '스코르다투라'라고 합니다).




Giacomo Puccini (1858-1924)

"Musetta's Waltz" from <La Boheme>

연주 : 한국교사오케스트라 (2016 여름 연주회)


 - 오페라 <라 보엠>은 푸치니의 네 번째 오페라로 <나비부인>, <토스카> 등과 함께 그의 대표작으로 꼽힙니다. 주세페 지아코자(1847-1906)와 루이지 일리카(1857-1919)가 대본을 썼으며, 원작은 앙리 뮈르제(1822-1861)가 쓴 소설 <보헤미안들의 생활>입니다('보엠(Boheme)'은 '보헤미안'과 동의어). 다락방에서 함께 거주하는 예술가, 철학자들이 겪는 소박한 사건들을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 이 작품은 1896년 토리노에서 아르투로 토스카니니(1867-1957)의 지휘로 초연되었는데, 초연 때는 언론과 평론가들에게서 혹평을 받았지만 이후 그 진가를 인정받아, 현재는 이탈리아 베리스모(사실주의) 오페라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무제타의 왈츠"는 2막에 나오는 아리아로, 화가 마르첼로 앞에서 그가 사랑하는 무제타가 부르는 노래입니다.


[후기] 오페라는 평소 잘 듣지 않았기 때문에 특별히 쓸 만한 감상이 별로 없네요. 조만간 여건이 될 때 모차르트와 푸치니, 베르디의 오페라는 꼭 접해볼 생각입니다.



[전곡]


[문제의 4악장. 2009 비엔나 필하모닉 신년 콘서트]


Joseph Haydn (1732-1809)

Symphony No.45 in f# Hob I:45 <Farewell>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6 봄 연주회(4악장))


 - 하이든이 근무한 에스테르하지 악단은 여름 시즌에는 고용주인 에스테르하지 후작을 따라 가문의 여름 별장으로 장기 출장을 떠나곤 했습니다. 1772년에는 가을이 되었는데도 후작이 본궁으로 돌아가지 않는 바람에 악단도 별장에 발이 묶이게 되었는데, 하이든 등 몇 명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단원들이 가족과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불만이 이만저만 아니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를 후작에게 전하기 위하여, 하이든은 새로운 교향곡을 (당시에는 매우 드문) 올림바단조 조성으로 작곡하고 4악장에서는 연주자가 조명을 끄고 하나하나 나가버리는 퍼포먼스까지 선보였습니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차린 후작은 다음날로 악단에게 휴가를 주었다고 하는군요.


[후기] 앞으로는 앙코르 때 연주한 작품도 블로그에 함께 올리게 될 것 같습니다. <고별>의 핵심은 누가 뭐래도 4악장이고, 연주자가 중간중간 나가는 장면에서는 그냥 밋밋하게 퇴장해서는 참 재미가 없어지게 마련입니다. 그래서 보통은 청중이 웃을 만한 재미있는 퍼포먼스를 하나씩 준비하게 됩니다. 블로거는? 주머니에 숨겨둔 전화를 받으며 나갔지요.




Felix Mendelssohn-Bartholdy (1809-1847)

Violin Concerto in e Op.64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6 봄 연주회)


 -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총 2곡이 알려져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두 번째 작품이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번은 멘델스존이 유년기에 작곡한 것으로, 오랫동안 잊혀져 있다가 20세기 후반에야 재발견). 이 작품은 1843년부터 작곡이 진행되어 1845년에 초연이 이루어졌으니, 멘델스존이 사망하기 불과 2년 전에 완성된 후기 작품입니다. 베토벤, 브람스, 차이콥스키의 작품과 함께 최고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논할 때 빠지지 않는 걸작이기도 합니다. 전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3악장이지만, 각 악장이 끊어지지 않고 끝까지 이어지는 독특한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후기] 음악을 듣다 보면 작곡가의 인생이 그들의 작품에 얼마나, 어떤 형태로 투영되는가 생각하게 될 때가 있습니다. 멘델스존은 역대 클래식 음악 작곡가들 중에서 최강급의 금수저(?)였고, 경제적인 어려움은 평생 겪지 않고 산 사람이죠. 그의 음악세계는 고도의 세련미, 편안하고 밝은 느낌으로 정리할 수 있을텐데 아무래도 그가 처한 환경이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그나저나 이건 이전에도 어딘가에서 연주한 적이 있었던 것도 같은데 기억이 분명치 않네요.




Gioacchino Rossini (1792-1868)

<La Cenerentola> "Overture"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6 봄 연주회)


 - <신데렐라>는 본래 유럽 지역의 전래 동화로, 17세기 이후 여러 작가들이 나름대로 정리, 각색하여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에게 알려진 신데렐라 이야기는 대부분 프랑스를 대표하는 동화작가 샤를 페로(1628-1703)가 쓴 것이며, 특히 20세기에 디즈니 만화영화에 페로가 쓴 줄거리가 채택되면서 전 세계로 퍼지게 됩니다. 로시니의 오페라 역시 페로의 버전을 기초로 대본을 만들었으며, 로시니는 (늘상 그렇듯이) 마감에 쫓기며 불과 3주만에 전곡을 완성했다고 합니다. 이 곡은 여주인공 역할을 메조소프라노~콘트랄토에게 맡겼기 때문에 해당 파트의 가수가 드물어진 20세기 들어서는 거의 잊혀지다시피 했지만, 20세기 후반 들어 잊혀진 오페라들이 재조명될 때 함께 부활(?)하여 다시 상연되고 있습니다.


[후기] 이 작품을 MP3로 넣어놓고 많이 들어놓고서, 정작 곡 이름은 모르고 있었습니다. ㅡㅡ; 이제 로시니 서곡을 제법 많이 했다보니 이 곡도 전형적인 로시니 것이로구나...... 싶어집니다. 로시니가 고전파-낭만파 중간쯤에 있던 작곡가다보니, 첼로 같은 경우 곡 전반에서 고전파 스타일의 기계적인 부분들이 자주 나옵니다.






Gabriel Faure (1845-1924)

<Dolly> Suite Op.56

연주 : 서울교육대학교 에듀필 (2015 가을 연주회)


 - 가브리엘 포레는 작곡가, 오르간 연주자, 음악교육자로 활동하였으며 20세기 초 프랑스 음악계의 개혁에도 일정 부분 공헌한 인물입니다. 포레는 1883년 조각가 엠마누엘 프레미에(1824-1910)의 딸 마리 프레미에와 결혼하였으나, 결혼 생활에 충실하지 못했고 여기저기 바람을 피우고 다녔습니다. 그 중 유명한 사례가 엠마 바르다크(1862-1934)와의 불륜염문이었는데, 바르다크는 가수이며 은행가의 부인이기도 했습니다. 당시 바르다크에게는 엘렌이라는 딸이 있었고 '돌리'라는 애칭으로 불리고 있었는데, 포레는 엘렌을 위하여 네 손을 위한 피아노곡을 만들고 그의 애칭을 제목에 붙였습니다. 이 작품은 이후 관현악으로 편곡되어 연주되고 있습니다.


[후기] 어느 시점부터 (듣거나, 연주하거나를 막론하고) 요란한 작품만큼이나 이런 잔잔한 곡들이 좋아지게 되었습니다. 글쎄, 그만큼 정신이 성숙해서일지 낡아서(?)일지는 잘 모르겠네요. 따지고 보면 저 둘은 비슷한 말 아니던가? 연주할 때 특별할 건 없는데, 리듬을 꼬아놓은 곡이 몇 있어서 사람 헷갈리게 만듭니다.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Concerto for Two Violins in d BWV 1043

연주 : 서울교육대학교 에듀필 (2015 가을 연주회(2, 3악장))


 - 바흐는 총 3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남겼는데, 그 중 BWV 1043은 두 명의 바이올린을 위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1717~1823년 사이에 작곡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 시기는 바흐가 안할트쾨텐 후국(侯國)의 궁정에서 활동하던 때입니다. 이 무렵 바흐의 창작 활동은 절정에 달해 있었고, 바흐의 대표작 중 상당수가 이 시기에 만들어졌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BWV 1043입니다. 이 작품은 작곡 이후 악보가 분실되었는데, 바흐의 차남 칼 필립 엠마누엘 바흐(1714-1788)가 기억을 되살려내어 복원할 수 있었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다수 연주자의 협연으로 연주되는 협주곡(합주 협주곡) 형식은 고전파 이후에는 찾아보기 어려워졌지만, 바로크 시대에는 상당히 인기있는 형태의 음악이었습니다.


[후기] 1악장은 비공식적인 자리에서 연주해본 적이 있었는데(물론 블로거가 바이올린 협연을 했다는 소리는 아니고), 이 곡을 연주한다고 해서 편한 마음으로 갔더니 해 본 적 없는 2, 3악장만 연주한다고 해서 순간 당황할 뻔한 일이 있었지요. 바로크 시대의 첼로와 베이스는 기술적으로 어려운 부분을 연주할 일이 거의 없는데, 이 시기까지는 첼로에 엔드핀이 없었기 때문에 상당히 불편한 자세로 연주를 해야 했고(다리 사이에 끼워놓고 연주), 당연히 어려운 패시지는 거의 연주가 불가능했기 때문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