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 적백내전의 결과 핀란드는 독립을 쟁취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소련이 내전을 수습하고 이후 스탈린 지배체제에서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세계 강대국으로 떠오른 이후, 소련은 핀란드를 비롯해 혁명기에 '상실'한 옛 제국의 영토를 다시 차지할 기회를 노리게 됩니다.
- 1930년대 후반 이후 가속화된 나치 독일의 폭주가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나치 독일과 소련은 처음에는 적대 관계였지만(나치 독일은 반공국가), 세력 확대에 대한 서로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면서 '독소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기에 이릅니다. 이 조약에서는 동부 유럽의 분할에 대한 합의가 들어있었습니다.
- 소련은 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이 개시되자 서둘러 조약에 명시된 자신들의 권리(?)를 행사하기 시작합니다. 비록 이해관계가 일치하여 손을 잡았지만, 분명 서로를 장래의 적으로 간주하고 있었으므로 다가올 전쟁에 대비하여 유리한 고지를 확보해 둘 필요가 있었던 것입니다. 독일이 동유럽 쪽으로 세력 확장을 시작하기 무섭게 소련 역시 자신들의 몫을 뜯어먹기 시작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했죠.
- 그렇게 소련은 폴란드 동부(현재의 벨라루스 일대)와 발트 3국을 무력 점령합니다. 이 지역은 러시아 혁명 이후 신생 소련을 떠나 독립한 곳입니다. 이 지역을 점령한 소련의 다음 타겟은, 역시 혁명 이전까지 러시아 영토였던 핀란드였습니다.
- 장차 독일이 북유럽 쪽으로 침공해 올 가능성에 대비해서라도 소련은 핀란드 지역을 점령해 둘 필요가 있었죠. 소련은 먼저 발트 3국에서 한 것처럼, 군사력을 등에 업은 굴욕적 방위 조약(영토 할양, 발트 해 연안 항구들의 조차 등)을 핀란드에 요구하지만 핀란드는 이를 단호히 거부합니다.
- 이로써 전쟁은 피할 수 없는 수순이 되었고, 침공의 구실이 필요했던 소련은 국경 지대에서 핀란드군이 소련군에게 발포했다고 주장하며(이는 훗날 날조된 것으로 판명) 1939년 11월 29일 외교 관계를 단절, 곧바로 그 다음날 23개 사단, 46만 명의 소련군이 핀란드 국경을 넘었으니 이것이 바로 '겨울 전쟁'입니다.
- 소련군은 단숨에 핀란드의 방어선인 '만네르하임 선'까지 밀어부쳤고, 점령지의 한 마을에서 오토 빌레 쿠시넨을 수장으로 하는 괴뢰 정부를 수립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신속하게 밟아나갑니다. 하지만 스탈린과 소련이 간과한 사실 하나가 있었으니 바로 '대숙청'의 여파였습니다.
- 1930년대 내내 소련을 뒤흔든 대숙청은 소련 군부에서는 상당히 늦게서야 시작되었지만, 그 상처는 다른 어느 분야보다도 크게 남았습니다. '종심 이론'의 창시자인 투하쳅스키 원수(그는 적백내전 당시 스탈린과 악연이 있어 사이가 나빴음)를 비롯하여, 소련의 군사 이론을 주도하던 고위 장교들이 대부분 숙청당한 것입니다.
- 이후 소련군은 고급 지휘관이 대거 사라지면서, 위관급 연대장이나 영관급 군단장이 등장하는 참상(?)을 곳곳에서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들 신진급 장교들에게 충분한 경험과 지도력을 쌓게 하기에는 너무나 시간이 부족했던 것이 1939년 소련군의 현실이었습니다. 거기에 대숙청의 여파로 지휘관들은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작전 수행조차 할 엄두를 내기 싫었고, 이는 소련군 대졸전 전설의 씨앗이 됩니다.
- 전쟁의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 바로 수오무살미 전투입니다. 수오무살미는 핀란드 중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소련군 입장에서는 핀란드 중부를 동서로 관통하여 분단시키려는 계획의 초입에 해당하는 중요한 곳이었죠. 1939년 12월 7일, 이 곳을 점령하기 위해 소련군 2개 사단(제44소총병사단, 제163소총병사단. 영문 위키피디아에는 1개 전차여단이 추가로 기입되어 있음)이 진격을 시작합니다.
[사진 1 : 수오무살미]
- 그런데 핀란드 중북부의 겨울은 말 그대로 혹한이었고, 여기에 폭설까지 겹치며 소련군의 진격을 방해합니다. 수오무살미로 진격하던 2개 사단은 수오무살미까지 전진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이후 '라테 길(Raate Road)'이라 불리는 얼어붙은 도로 위에 발이 묶여버리게 됩니다. 도로상에 길게 늘어선 소련군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매복해 있던 핀란드군 제9보병사단이었습니다.
- 스키부대가 주축이 된 핀란드군은 소련군 대열의 사이사이를 끊고, 그곳에 도로 장애물 등을 설치하여 서로간의 연락을 차단해버립니다. 소련군 2개 사단은 어느새 수많은 소규모 부대로 쪼개져 도로상에 고립되어 버렸고, 핀란드군은 그 소규모 부대들을 하나하나 각개격파해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마치 장작을 쪼개듯 했다는 뜻에서 '모티(장작) 전술'이라 부릅니다.
[사진 2 : 당시의 전투 상황도. 소련군의 진형이 조각조각 끊어지고 있음]
- 전투는 해를 넘겨서까지 계속 이어졌고, 모든 전투가 종료된 것인 1940년 1월 8일. 살아남은 소수의 소련군은 무기고 장비고 다 내버린 채, 동쪽의 얼어붙은 호수를 맨몸으로 건너 도망쳐야 했습니다. 핀란드군 1개 사단(1만 1천여 명)으로 소련군 2개 사단(5만여 명)을 섬멸한 '수오무살미 전투'는 겨울 전쟁 중에서도 가장 기념비적인(소련 입장에서는 악몽과도 같은) 전투로 남아 있습니다.
- 이 참사를 보고받은 스탈린은 희생양부터 찾기 바빴는데, 제44사단장은 현장에서 총살당했으며, 이외 수십 명의 고위 장교들도 교체되었습니다. 당시 총사령관은 적백내전의 명장이었던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였는데, 수십 년간 변화한 전쟁 양상에는 무지했던 그를 스탈린이 질책하자 "유능한 장교들을 네가 다 죽여버렸잖아!"라며 패기 넘치는 항의를 날립니다(보로실로프가 스탈린과 절친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태도. 실제로 이러면서도 그는 끝까지 숙청당하지 않았음).
- 다만 이후에는 소련군에서 몇 남지 않은 유능한 장교인 세묜 티모셴코를 전장에 보내어 작전을 총괄하게 하였으며, 그의 주도로 소련군은 전력을 재정비하여 결국 핀란드의 방어선을 뚫는데 성공합니다. 견디지 못한 핀란드는 결국 항복하였고, 소련은 처음 요구보다 더 많은 것을 얻어내는 조약을 핀란드에 강요할 수 있었습니다.
- 하지만 원래의 목표였던 핀란드 전체 점령은 실패했고, 국제적 여론은 참담할 정도로 악화되어 소련은 국제연맹에서 축출당하는 굴욕까지 당합니다. 이것보다도 결정적인 문제는 따로 있었으니, 전쟁 과정에서 보여준 온갖 추태들로 인해 소련군은 '오합지졸'이란 인상을 전 세계인들에게 심어주었으며 이는 히틀러가 소련을 침공할 자신감을 얻는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 이 전쟁에 대한 핀란드의 분노는 대단한 것이어서, 1941년 독소전쟁이 시작되자 핀란드는 단지 '잃은 것들을 되찾기 위해' 독일과 동맹, 소련이 얻어터지는 틈을 타 카렐리야 지협을 비롯해 소련이 점령한 지역들을 곧바로 되찾아버립니다. 하지만 딱히 독일을 좋아하는 것도 아니었던 핀란드는 얼마 후 진격을 멈추었고, 독일의 패색이 짙어지자 소련을 비롯한 연합국과 협상을 통해 국가를 보전할 수는 있었습니다. 물론 점령한 땅은 다시 상실하였고 이 지역은 소련 패망 후 지금까지 러시아 영토로 남아 있습니다.
참고, 사진 출처 :
『독소 전쟁사』 글렌츠/하우스, 열린책들
한국어 위키백과 "겨울 전쟁"
영문 위키피디아 "Battle of Suomussalmi"
'◐ 1. 주제글 >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 보면 슬픈 오키나와의 역사 : (Bonus) ハイサイおじさん (0) | 2015.05.31 |
---|---|
알고 보면 슬픈 오키나와의 역사 : (3) 그리고 현재 (0) | 2015.05.31 |
알고 보면 슬픈 오키나와의 역사 : (2) 근대 (0) | 2015.05.31 |
알고 보면 슬픈 오키나와의 역사 : (1) 근대 이전 (0) | 2015.05.30 |
충격과 공포의 일본군 자폭병기 3형제 (0) | 201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