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dwid van Beethoven (1770-1827)

Triple Concerto in C Op.56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5 봄 연주회)


 - 삼중 협주곡은 세 악기의 합동 협주라는 특이한 형태의 작품으로, 이런 형태의 음악은 주로 바로크 시대 '합주 협주곡(Concerto Grosso)'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만들어진 바 있습니다. 고전 시대 이후로는 찾아보기 어려워진 이러한 형태를 베토벤이 왜 꺼내들었는지는 분명치 않은데, 베토벤의 전기 작가(하지만 신뢰성은 심히 의심받는)인 안톤 쉰들러(1795-1864)에 따르면 피아노는 베토벤의 후원자 중 하나인 루돌프 대공, 바이올린은 루돌프의 전속 음악가인 칼 자이들러, 첼로는 에스테르하지 가문 오케스트라의 수석 첼로 주자인 안톤 크라프트를 염두에 둔 것이라고 합니다. 완성은 1804년에 되었지만, 루돌프 대공이 악보를 먹튀개인소장하는 바람에 출판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하는군요.


[후기] 블로거는 이 작품을 딱히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베토벤 특유의 혁신성이 그닥 느껴지지 않거든요. 그래도 역시 (바로크 음악이 아닌) 세 악기의 동시 협주라는 게 독특한 매력이기는 하지요. 첼로를 듣보잡 취급했다는 모차르트와는 달리 베토벤은 나름 첼로를 좋아해서 첼로 소나타를 썼다든지 삼중 협주곡에 첼로를 포함했다든지 정도의 노력은 했으니 경건히 들을 따름입니다.





Antonin Dvorak (1841-1904)

Cello Concerto in d Op.104

연주 : 하나클랑 졸업생 오케스트라 HALO (2015 정기연주회)


 - 드보르자크의 미국 생활은 그리 성공적이었다고 보기는 어렵고 기간도 3년 남짓으로 길지 않았지만, 음악적 지평을 넓히는 데는 큰 도움이 된 시기였습니다. 뉴욕 내셔널 음악원장으로 근무하면서 드보르자크는 '인종 불문 입학 가능'이라는, 당시로서는 과감한 조치를 단행하였고 그렇게 입학한 학생들을 통하여 아프리카계와 아메리카 원주민의 음악을 자신의 것으로 흡수할 수 있었습니다. 첼로 협주곡은 1895년 완성, 1896년 영국에서 초연되어 큰 호평을 받았습니다. 드보르자크의 후원자였던 브람스는 "이런 작품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면 내가 진작 첼로 협주곡을 썼을 텐데"라며 탄식했다고 하지요.


[후기] 연주회 뒷풀이에서 협연자와 나누었던 이야기들이 기억에 남습니다. "아마추어와 맞추다 보니 루바토를 주기 어려워서 철저히 정석에 맞게 연습을 했는데, 들어보니 대가들은 다 정석에 맞게 하더라" 뭐 이런 이야기도 했고, "음악을 업으로 하다가 음악을 순수하게 즐기는 사람들과 함께 한다는 게 굉장히 소중한 경험이다" 이런 이야기도 했던가요.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다 보면 이 자리가 전문가와 취미가의 연결지점이 되는 것 같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양쪽 모두에게 정말 중요한 경험이 되겠지요.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Oboe Concerto in C K.314/K.271k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4 가을 연주회)


 - 모차르트의 오보에 협주곡은 그가 협주곡을 썼다는 정보만 있고, 작품의 실체는 오랫동안 알려져 있지 않았습니다. 이 작품의 사보된 악보가 발견된 것은 1920년이었는데, 놀랍게도 모차르트의 플루트 협주곡 D장조 K.314와 조만 다른 사실상 똑같은 곡이어서 논란을 낳았습니다. 핵심적인 것은 과연 둘 중 어느 쪽이 원곡이냐 하는 것인데, 일단은 모차르트 연구의 권위자인 알프레드 아인슈타인(1880-1952)의 의견을 따라 대체로 오보에 협주곡 쪽을 원곡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기존의 작품 분류에서는 플룻/오보에 협주곡에 같은 번호가 붙어 있습니다(개정 번호에서는 물론 다름).


[후기] 사실 이 곡을 연주했는지 아니 했는지도 기억이 불분명했다가, 곡을 다시 들으면서 간신히 기억해 냈습니다. 남아있는 기억이 이 수준이다보니, 후기랄 만한 건 딱히 없습니다. ㅡㅡ;





Sergey Koussevitzky (1874-1951)

Double Bass Concerto in e Op.3

연주 : 한국 대학생 연합 오케스트라 KUCO (2014 여름 연주회)


 - 세르게이 쿠세비츠키는 지휘자 겸 더블베이스 연주자로, 젊은 시절에는 주로 연주자로 이름을 날렸습니다. 30대 중반쯤부터 지휘자로 활동, 본래 러시아를 중심으로 음악 활동을 하였으나 러시아 혁명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서 미국 시민권을 획득하였습니다. 1924년부터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지휘를 맡아 25년간 맹활약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작곡가로서의 활동은 별로 없지만, 평소 더블베이스를 위한 곡이 부족함을 아쉬워하던 중 직접 작품을 쓰기에 이르렀으니 유명한 더블베이스 협주곡입니다.


[후기] 더블베이스를 위한 협주곡 자체가 희귀하니, 진기한 경험을 한 셈이지요. 당시 협연은 요즘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는 더블베이스 연주자 성민제씨가 연주한 바 있습니다.





Dmitry Kavalevsky (1904-1987)

Violin Concerto in C Op.48

연주 : 서울교육대학교 에듀필 (2014 봄 연주회)


 - 카발렙스키는 쇼스타코비치, 하차투리안과 동시대 인물로, 주로 극음악 쪽에서 두각을 나타낸 작곡가입니다. 소련의 정치권력과는 대체로 타협적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예술적 깊이보다는 일반인도 이해하기 쉬운 음악을 추구하였습니다. 특히 그의 협주곡들은 전문적 연주자가 아니더라도 연주할 수 있을 정도의 쉬운 난이도를 추구하였다고 하는데, 이는 그가 어린이 음악교육에 깊이 관여한 것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후기] 러시아-소련의 작곡가들은 저마다 독특한 매력을 하나씩은 가지고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블로거는 이 연주를 통하여 카발렙스키를 처음 접했고, 협주곡에 대하여 남들과는 다른 인식을 가지고 접근하였다는 데 깊은 인상을 받은 바 있습니다. 이 연주 또한 프로페셔널이 아닌, 단원 중 한 명이 협연을 하였죠.




Jean Sibelius (1865-1957)

Violin Concerto in d Op.47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14 신입생 환영 연주회)


- 본래 시벨리우스는 바이올린 연주자를 목표로 하고 있었지만, 무대공포증과 자신감 부족을 극복하지 못하고 작곡으로 완전히 전향한 개인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그 뒤로도 시벨리우스 자신은 바이올린에 대한 미련을 완전히 버리지는 않았고, 이런 사정이 있다 보니 바이올린에 대한 이해 또한 상당히 깊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만들어진 것이 바로 그의 유일한 바이올린 협주곡입니다. 이 작품은 1903년 완성되어 이듬해 초연되었지만 당시 연주는 협연자의 능력 부족으로 엉망이 되었고, 이후 시벨리우스는 전체적인 틀을 일부 개정하여 1905년 다시 공개하였는데 이 연주는 성공적이었다고 합니다.


[후기] 아마추어 악단의 협주곡 연주는, 연주도 연주지만 협연에 대한 감상 그 자체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말한 적이 있지요. 개인적으로 정말 좋아하는 바이올린 협주곡이기도 합니다.





Camille Saint-seans (1835-1921)

Introduction et Rondo Capriccioso Op.28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3 가을 연주회)


- 바이올린 협주곡의 형태를 띤 이 작품은 파블로 데 사라사테(1844-1908)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라사테는 당대 최고의 바이올린 연주자 중 하나였고(그가 자신의 실력을 자랑(?)하려고 만든 작품이 바로 유명한 <치고이네르바이젠>), 그의 연주를 본 생상스는 강한 인상을 받고 사라사테를 위한 바이올린 곡을 만들어 헌정하는데 바로 이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입니다. 단일 악장으로, 느린 서주와 상당히 변형된 론도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후기] 항상 언급하지만 아마추어 악단이 연주하는 협주곡은 협연자의 연주를 함께 감상하고 받쳐주는 것이라고 봐야겠죠. 큰 해프닝이라도 있지 않고서는 협연자가 연주를 어떻게 했는지 정도가 기억에 남습니다. 이 곡의 연주는, 괜찮았던 것 같네요.





Antonio Vivaldi (1678-1741)

Violin Concerto <Four Seasons> Op.8

연주 : 서울교육대학교 에듀필 (2013 봄 연주회("봄"))


- 바이올린 연주자이기도 했던 비발디는 생애에 걸쳐 다수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하였고, 그 중 단연 가장 유명한 작품이 <사계>입니다. 이 작품은 4개의 협주곡이 모인 형태로, 본래는 12곡으로 구성된 <화성과 창의의 시도> 중 앞의 네 곡이었으나 이들이 큰 인기를 끌면서 따로 독립시켜 현재의 이름으로 부르게 된 것입니다. 각각의 곡은 빠른-느린-빠른 악장으로 구성된, 고전적 협주곡의 전형을 보여줍니다.


[후기] 바로크~고전파 정도까지 등장하는 오케스트라 첼로는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낮고, 주로 단순한 저음 반주를 맡게 됩니다. 당시 첼로 연주법은 지금과는 달라서 양 다리 사이에 낑겨놓고 연주를 하는 형태였고, 그런 불안정한 폼으로는 빠른 패시지를 연주하기 어려웠으니까요. <사계> 또한 첼로만 따로 떼어놓으면 첼로 교본 앞부분같은 단순한 모양이지만, 합주를 해 보면 아름다운 화음을 만들어준다는 게 신기할 따름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