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itry Shostakovich (1906-1975)

Cello Concerto No.1 Op.107
연주 : 하나클랑 졸업생 오케스트라 HALO (2013 정기연주회)


 - 스탈린 사후 쇼스타코비치를 둘러싼 환경에는 숨통이 트였지만, 개인사적으로는 첫째 부인의 사망과 두 번째 결혼의 실패, 본인의 건강 문제 등 악재가 겹치는 시기였습니다. 두 번째 결혼이 파탄지경에 이른 후 쇼스타코비치는 한동안 모스크바를 떠나 있었는데, 이 시기에 만든 작품이 첼로 협주곡 1번입니다. 이 작품의 작곡에 영향을 준 두 존재로 프로코피예프와 로스트로포비치를 들 수 있는데, 작곡가 본인은 프로코피예프의 첼로 작품에서 창작의 동기를 얻었다고 밝힌 적이 있으며, 실제 작곡은 쇼스타코비치가 좋아하는 명 첼리스트인 므스티슬라브 로스트로포비치(1927-2007)를 염두에 두고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이 곡의 초연은 로스트로포비치의 협연으로 이루어졌고, 쇼스타코비치는 작품을 그에게 헌정하기도 했습니다.


[후기] 총 4악장으로 되어 있는데, 그 중 3악장은 오로지 협주자의 카덴차만으로 되어 있습니다. 본래 2악장에 붙어 있던 카덴차가 길어지면서 아예 다른 악장으로 독립시킨 것이라고 하는군요. 연주하기에는 (현대음악이 종종 그렇듯이) 리듬이나 마디 구분이 변화무쌍하여 꽤 까다로운 작품입니다.





Sergei Rachmaninov (1873-1943)

Piano Concerto No.2 in c Op. 18

연주 : 한국 대학생 연합 오케스트라 KUCO (2012 겨울 연주회)


 - 라흐마니노프의 교향곡 1번은 발표 당시 비평가들에게 엄청난 혹평에 시달렸고, 라흐마니노프는 여기에 스트레스를 받은 나머지 우울증을 겪음과 동시에 악상이 전혀 떠오르지 않는 상태(야구로 치면 스테브 블레스 증후군?)로 몇 년이나 시달리게 됩니다. 이후 정신과에서 최면요법까지 받아가며 간신히 우울증을 극복해내고, 다시 작곡도 가능해지자 그는 새로운 협주곡을 작곡하였고, 그 작품이 바로 피아노 협주곡 2번입니다. 그래도 아직 트라우마를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는지 라흐마니노프는 이 곡의 초연을 주변 관계자와 동료들만 모아서 비공식적으로 열었고, 대중 앞에 공식적으로 작품을 발표한 것은 그로부터 반년이나 지나서였습니다. 다행스럽게도 당시 작품에 대한 평가가 매우 좋았기 때문에 그는 트라우마를 완전히 벗어날 수 있었다는군요.


[후기] 의외로 아마추어 쪽에서 종종 들을 수 있습니다. 사실 오케스트라 파트는 (어렵기는 해도) 어떻게든 소화 가능하긴 하거든요. 피아노 협연이 그야말로 죽을 맛(?)이라 그렇지.





Fryderyk Franciszek Chopin (1810-1849)

Grand Polonaise Brillante Op.22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10 정기연주회)


 - 쇼팽의 작품 중 피아노가 들어가지 않은 작품은 하나도 없다고 할 정도로, 쇼팽의 작품세계는 철저히 피아노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비록 당시가 교향악의 시대는 아니었다고는 하나 쇼팽의 작품 중에는 그 흔한 교향곡 하나 없고, 피아노 협주곡 형태의 몇몇 작품이 있을 뿐입니다. '폴로네이즈'는 폴란드의 민속 춤곡의 한 장르로, 쇼팽은 마주르카와 함께 이 두 장르를 극한의 예술적 경지에까지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이 작품은 나중에 앞부분을 추가 작곡하여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화려한 대 폴로네이즈'로 부르기도 하며, 요즘에는 피아노 독주용으로 편곡한 버전이 자주 연주됩니다.


[후기] 협연자나 오케스트라가 아무리 뛰어나도 일단 호흡은 충분히 맞추어보는 게 맞습니다. 연주 때 어떤 해프닝이 있었는지는, 협연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여 언급하지 않기로.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Piano Concerto No.1 in bb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09 정기연주회)

- 차이콥스키는 1874년 12월 대략 1개월 남짓의 빠른 시간동안 피아노 협주곡을 작곡하여, 모스크바 음악원의 원장이던 니콜라이 루빈슈타인(1835-1881, 피아니스트 안톤 루빈슈타인의 동생)에게 조언을 구하러 갔습니다. 그런데 당시 루빈슈타인은 이 곡에 대해 "연주가 불가능하다" 등의 대혹평을 쏟아냈고, 격분한 차이콥스키는 곧장 악보를 들고 뛰쳐나갑니다. 루빈슈타인이 당황하여 약간의 수정만 있으면 자신이 초연을 맡겠다고 말했지만 "음표 한 개도 고칠 수 없다"고 선언한 차이콥스키는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인 한스 폰 뷜로(1830-1894)에게 초연을 부탁하였고, 이 곡을 좋게 평가한 뷜로는 기꺼이 초연을 맡아 대성공을 거둡니다. 나중에 루빈슈타인은 차이콥스키와 화해하고 곡의 모스크바 초연을 직접 협연하기도 하였습니다. 작곡 당시의 우여곡절과는 반대로,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3개 중 압도적으로 인기 있는 작품이 되어 있습니다. 여담으로 뷜로는 보스턴에서의 초연을 성공적으로 마친 이후 차이콥스키에게 소식을 알리는 전보를 보냈는데, 이것이 보스턴-모스크바 사이의 최초의 전보라는 말도 있습니다.

[후기] 어쩌다보니 러시아 쪽에서 온 피아니스트와 연주를 했더랍니다. 지휘자 때문에 영 신뢰성이 가는 사람은 아니었는데, 어쨌든 연주 자체는 상당히 파워풀하고 좋았던 것으로 기억.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Violin Concerto in D Op.35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06 정기연주회)


 - 동성애자였던 차이콥스키는 자신에게 강한 집착적 구애를 멈추지 않는 여제자와 마음에도 없는 결혼을 했지만, 당연하게도 결혼생활은 머지 않아 파탄지경에 처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찾아온 우울증을 회복하고자 차이콥스키는 스위스의 제네바 호수 근처로 요양차 떠나게 되는데, 이곳에서 자신의 제자인 바이올리니스트 요시프 코테크(1855-1885)와의 작업을 통해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하였습니다. 다만 코테크는 명성 있는 연주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곡은 이런저런 우여곡절을 거쳐 3년 후 아돌프 브로드스키(1851-1929)의 협연으로 초연됩니다. 당시에는 평가가 엇갈렸지만 현재는 차이콥스키의 대표곡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후기] 차이콥스키의 협주곡은 연주할 때 뭔가 비슷한 느낌 같은 게 있습니다. 정서랄까, 흐름이랄까, 오케스트레이션이랄까, 능력이 부족해서 뭐라 말로 정리하긴 어렵군요. 아무튼 바이올린 협주곡과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해보면 서로 비슷해보이는 무언가를 잡을 수 있습니다(예전에 이 두 곡을 실제로 헷갈렸던 경험도 있었고).




 

Franz Joseph Haydn (1732-1809)

Violoncello Concerto No.1 in C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05 정기연주회), 서강대학교 ACES (2014 봄 연주회)


 - 하이든의 초기 작품. 오랫동안 알려져 있지 않다가 1961년 프라하 국립 박물관에서 필사본 악보가 발견되며 세상에 다시 알려졌습니다. 이 곡의 진위 여부에 대하여는 이런저런 논란이 있지만, 현재는 대체로 하이든 본인의 작품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에스테르하지 가문의 오케스트라에서 선임 첼로 연주자로 일하던 요제프 바이글을 위해 작곡되었다고 합니다.


[후기]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작품. 연주 당시에도 '들으면서 즐거운 곡'으로 기억에 남아 있네요. 협주 첼로도 한 번쯤 연주해보는 게 꿈이긴 하지만 현실은......





George Frederic Handel (1685-1759)

Concerto Grosso in G (Op.6 No.1)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05 앙상블의 밤)


 - '합주 협주곡(Concerto Grosso)'이란 협주곡 양식의 하나로, 독주자가 아닌 몇 명의 주자로 구성된 '콘체르티노'가 협주를 담당하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바로크 시대 전후에 인기를 끌었고, 이 당시 많은 작품이 만들어졌습니다. 헨델은 30여 곡의 합주 협주곡을 만들었는데, 이 중 Op.6 에 포함된 12곡이 유명합니다. 이 곡은 그 중 첫 곡으로, 5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후기] 블로거의 첫 연주곡. 악기 처음 들고 간 날 얼떨결에 합주에 끼어 연주를 했던 것만 기억에 남습니다. 그나마 바로크 곡들은 첼로가 비교적 단순한 경우가 많아서(물론 어려운 경우는 어렵지만), 지판에 붙여놓은 테이프로 어찌어찌 따라간 정도. 그래도 바로크는 연주할 때 독특한 매력이 있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