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annes Brahms (1833-1897)

Symphony No.4 in e Op.98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13 10주년 기념 연주회)


- 브람스의 마지막 교향곡. 브람스의 네 교향곡을 1-2번과 3-4번의 두 묶음으로 나누면, 앞의 두 곡이 비슷한 시기에, 뒤의 두 곡이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작품들입니다. 브람스는 3번 교향곡을 완성한 다음 해인 1884년에 새로운 교향곡의 작곡을 시작, 그 해 여름 휴가에서 앞의 두 악장을, 다음 해 여름 휴가에서 뒤 두 악장을 완성하였습니다. 곡의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어둡고 지나치게 복고적이라는 인식이 있어 발표 초기에는 평이 엇갈렸으나, 반대로 매우 혁신적인 작품이라는 상반된 해석도 존재합니다.


[후기] 브람스의 교향곡을 연주할 때 가장 까다로운 점이라면, 역시 마디의 구분점과 리듬의 구분점이 어긋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일 겁니다. 이런 부분에서는 일단 마디수 세는 게 굉장히 어렵고, 곡의 느낌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도 헷갈려서 연주가 전반적으로 어그러지기 쉽거든요. 연주를 해 보면 자기가 어디를 쫓아가고 있는지도 모르게 되는 경우가 다반사라, 곡 전반에 걸쳐 정신줄을 꼭 잡고 있어야 합니다. 블로거는 이 곡까지 브람스 교향곡 4개 중 2번을 뺀 나머지 세 개를 모두 해 봤습니다. 2번은 언제 연주를 할 수는 있을까요?





Johannes Brahms (1833-1897)

Symphony No.3 in F Op.90

연주 : 건국대학교 KUPhil (2013 가을 연주회)


- 브람스의 교향곡 3번은 1883년 여름~가을에 걸쳐 작곡이 진행되었고, 전작인 2번 완성 후 6년이 지나 만들어졌습니다. 전작 완성 이후 꽤 긴 시간이 지났지만 작곡 자체는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그가 이전에 구상해 두었던 이런저런 악상들을 바탕으로 곡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브람스는 여름 휴가 동안 곡의 기본적인 틀을 거의 만들었고, 비엔나로 돌아온 이후 관현악 편곡과 소소한 개정을 거쳐 가을에 완성하였습니다. 초연은 같은 해 12월에 한스 리히터(1843-1916)의 지휘로 연주되었고, 상당한 호평을 받았습니다.


[후기] 개인적으로는 느린 악장을 아주 좋아합니다. 특히 3악장 처음의 첼로 연주는, 첼로 연주자라면 절대 놓칠 수 없죠. 예전에 많이 읽었던 관현악법 교재에서는 이 부분을 두고 "왜 바이올린도, 비올라도 아닌 첼로였을까?"라는 질문으로 썰을 풀었던 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Johannes Brahms (1833-1897)

Hungarian Dances

연주 : 건국대학교 KUPhil (2013 가을 연주회(5번)), 서울교육대학교 에듀필 (2015 가을 연주회(1번))


- 브람스는 20세 무렵 헝가리 출신의 바이올린 연주자인 에두아르트 레메니(1828-1898)와 연주여행까지 함께 할 정도로 깊은 관계를 맺었는데, 특히 레메니를 통하여 헝가리의 집시 음악을 접한 브람스는 깊은 인상을 받고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그의 연구는 1869년과 1880년 두 차례에 걸쳐 총 4집 21곡의 피아노 연탄곡(두 사람이 연주하는 피아노곡)으로 결실을 맺었고 큰 인기를 얻게 됩니다. 다만 1869년의 작품 발표 이후 헝가리 출신 음악가들이 표절 의혹을 제기하였고, 법정 소송까지 치렀지만 브람스 자신이 '편곡자'임을 명시해두는 바람에 흐지부지되는 해프닝도 있었습니다.


[후기] 주로 1번과 5번만 떼어 앙코르 곡으로 많이 연주하죠. 저 두 곡이 워낙 넘사벽으로 유명해서, 아마추어에서 전곡 연주를 볼 수 있을지 궁금해지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5번의 트리오는 느리게 늘여서 연주하는 지휘자와 앞뒷 부분과 비슷한 템포로 연주하는 지휘자로 갈리죠.




 

Johannes Brahms (1833-1897)

Academic Festival Overture Op.80

연주 : 한국 대학생 연합 오케스트라 KUCO(2013 겨울 연주회, 2013 여름 연주회), 건국대학교 KUPhil(2013 가을 연주회),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13 정기연주회)

 

- 브람스는 1876년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받을 뻔 했지만, 영국 방문을 탐탁찮아했으며 교향곡 1번의 막바지 작업을 하느라 상당히 바빴기 때문에 스스로 수여를 거절합니다. 3년 후 이번에는 독일의 브레슬라우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하였고 브람스는 여기에는 응하여 학위를 수여받게 됩니다. 이 학위 수여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작곡한 작품이 바로 대학 축전 서곡인데, 브람스는 자신이 대학생들과 어울리며 익혀둔 당시 대학가의 노래들을 모티브로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후기] 정말 인기곡이죠. 대학교 오케스트라가 대학 축전 서곡을 좋아하는 게 어찌 보면 당연할지도? 다만 난이도가 낮은 곡은 결코 아닙니다. 악단을 한 번씩 생고생시키는 작품. 이 작품을 연주할 때는 마지막 세 음을 연주하기 직전에 꼭 성급하게 박수를 치는 청중이 있다는 것을 감안하고 연주에 임합시다.



Johannes Brahms (1833-1897)

Symphony No.1 in c Op.68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06 정기연주회)


 - 이 곡의 초연은 1876년에 이루어졌지만 실제 작곡은 1850년대부터 시작했다고 합니다. 완성에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린 것은 브람스가 베토벤의 업적을 강하게 의식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우세한데, 당시 '교향곡'이라는 장르는 베토벤에 의해 정점에 도달했다는 인식이 있었던지라 브람스는 적어도 베토벤에 필적하는 작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었던 것이라고. 20여 년을 기다려 완성된 교향곡은 실제로 사람들의 기대를 충족시킬만한 대작이었고, 브람스를 지지하는 음악평론가 에두아르트 한슬리크(1825-1904)는 그러한 의미를 담아 이 곡을 "베토벤 교향곡 10번"이라 평하기도 했습니다.


[후기] 쉽지 않은 작품. 길이도 길고, 기술적인 난이도 역시 좀 있고, 무엇보다 브람스 특유의 마디 꼬아놓기 때문에 박자감각을 유지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곡이기도 하죠. 사실 브람스 교향곡은 손 돌아가는 문제보다도 이걸 음악적으로 맞추는 게 더 큰 문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