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Leonore> "Overture" No.3 Op.72a

연주 : 건국대학교 KUPhil (2015 가을 연주회)


 - 베토벤의 유일한 오페라 <피델리오>는 파란만장한 개작(改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 판본은 1805년 완성되어 그해 말 초연되었는데, 하필 나폴레옹이 비엔나로 침공한 혼란통에 몇 차례 상연되지 못하고 무대에서 내려오고 말았습니다(당시의 서곡은 <레오노레> 2번). 이듬해 초 베토벤은 작품을 다듬어 3막에서 2막으로 축소하고, 새로운 서곡(<레오노레> 3번)을 만들어 무대에 올렸으니 이것이 두 번째 판본입니다. 다만 이는 1차보다도 흥행에 실패하는 수모를 겪었습니다. 이듬해(1807년) 프라하에서 상연 기회가 생기자 베토벤은 서곡을 다시 써서(<레오노레> 1번) 준비를 하였으나 이번에는 상연 자체가 취소. 이후 시간이 지나 1814년이 되어서야 작품은 다시 상연될 기회를 얻게 되었는데, 베토벤은 음악을 대규모로 개작하였고 비로소 흥행에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서 서곡을 다시 썼는데(<피델리오> 서곡), 초연 당시까지 완성하지 못하여 얼마 후에야 새로 쓴 서곡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최종본에 이르기까지 3명의 다른 작가가 대본 작업에 참여했고, 제목도 <피델리오> → <레오노레> → <피델리오>로 바뀌었습니다. '레오노레'는 주인공의 본명, '피델리오'는 남장한 주인공의 가명입니다.


[후기] 은근히 어려워서 허를 찔린 기억이 있습니다. 곡 자체의 재미도 재미지만, 완성되기까지의 긴 사연이 더 인상적이었던 작품.





Arturo Marquez (1950-)
Danzon No.2

연주 : 서울교육대학교 에듀필 (2015 봄 연주회)


 - 아르투로 마르케스는 멕시코 출신의 작곡가입니다. 멕시코 북부의 알라모스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내고, 가족들과 함께 미국 로스엔젤레스 교외의 라 푸엔테로 이주하여 이곳에서 본격적인 음악 교육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멕시코 음악원을 거쳐 프랑스 파리에 장학생으로 유학을 다녀왔고, 1990년에는 캘리포니아 예술학교에서 MFA(Master of Fine Arts) 학위를 받았으며 풀브라이트 장학금의 수혜를 받기도 했습니다. 주로 멕시코를 비롯한 라틴아메리카의 음악적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는 작품 활동으로 명성을 얻었습니다. 단존 2번은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단존(Danzon)'은 멕시코와 쿠바 등에서 유행한 2/4 박자의 춤곡입니다.


[후기] 흥겨움 하면 라틴아메리카 음악을 따라올 게 별로 없죠. 독특한 리듬을 가지고 있는 곡은 제대로 연주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운데, 블로거는 이런 곡이야말로 색다른 재미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좋아합니다.





Josef Strauss (1827-1870)

Polka <Ohne Sorgen> Op.271


 - 요제프 슈트라우스는 요한 슈트라우스 1세의 차남으로, 형인 요한 슈트라우스 2세와 비슷하게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음악가의 길을 걸어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아버지는 그를 군인으로 키우려고 하였지만 군사훈련을 버티기에는 그리 강건하지 못하여, 전공을 수학과 공학 쪽으로 바꾸었고 수학 참고서를 낼 정도로 나름의 입지를 확보하였습니다.


 - 음악가 데뷔는 상당히 얼떨결에 이루어졌는데, 1853년 요한 2세가 건강 문제로 잠시 활동을 중단하자 요제프에게 땜빵(?) 지휘를 부탁한 것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형과 마찬가지로 몰래 음악 교육을 계속해왔던 그는 이를 수락하였는데, 데뷔 무대가 의외의 호평을 받으면서 본격적인 음악 활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 슈트라우스 일가의 일원답게 요제프 역시 왈츠 등의 경음악 분야에서 맹활약하였는데, 요한 2세가 "형제 중 최고의 재능은 요제프다"라는 말을 할 정도였다고 합니다. 이공계 쪽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다보니 공과대학이나 산업체 등의 행사에서 많은 음악을 의뢰받았고, 특히 젊은 세대에게 인기가 많았는데 상대적으로 서정적인 음악 스타일 때문이었다는군요.


 - 워낙 인기가 많았다보니 슈트라우스 일가는 모두 과로에 시달려야 했는데, 요제프 역시 과로로 건강을 많이 해쳤고 1870년 폴란드 공연 중 무대에서 갑자기 쓰러져 그 길로 사망했습니다. 워낙 갑작스러운 일이라 세간에서는 그의 사인에 대해 온갖 소문이 돌았는데(심지어 러시아 군인의 폭행으로 사망했다는 설까지 있었다고), 장례와 매장에 관여한 사람들의 증언으로 일단은 과로사라는 결론이 났습니다.


 - 283곡의 자작곡 뿐 아니라 편곡한 작품 또한 굉장히 많았는데, 막내동생인 에두아르트 슈트라우스(1835-1916)이 형들의 사후 악단을 해체하면서 요제프의 악보 상당수를 폐기해 버려, 현재 남아 있는 작품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에두아르트 역시 음악가였지만 형들의 명성에 묻히는 경향이 있었고(심지어 자신이 받아야 할 스포트라이트를 빼앗기는 경우도 있었다고), 여기에 큰 불만을 가졌던 것이 하나의 원인이라고 합니다.





Johann Strauss II (1825-1899)

Waltz <Fruhlingsstimmen> Op.410

연주 : 서울교육대학교 에듀필 (2015 봄 연주회)


 - '왈츠'라는 춤곡 형식은 19세기 유럽을 완전히 평정하다시피 했는데, 당시 유럽의 대도시는 부유층의 무도회로부터 서민의 길거리 음악에 이르기까지 온통 왈츠로 차 있었습니다. 비엔나의 왈츠를 평정한 게 바로 요한 슈트라우스 부자(父子)인데, 요한 슈트라우스 2세는 아버지 요한 슈트라우스 1세의 격렬한 반대를 무릅쓰고 음악가가 되었으며, 말년의 아버지와 흥행 경쟁까지 벌여가며(요즘도 그렇지만 이런 대결구도는 대중의 관심을 받기 딱 좋았지요) 비엔나 왈츠의 최강자로 군림했습니다. <봄의 소리>는 1883년 슈트라우스가 헝가리로 연주 여행을 갔다가 초대받아 간 저녁 파티에서 거의 즉흥적으로 만들어 다듬은 작품입니다. 본래는 소프라노 독창을 위한 곡이었으며, 이후 관현악용으로 편곡한 버전이 널리 연주되고 있습니다.


[후기] 슈트라우스 일가의 왈츠는 빼놓을 수 없는 앙코르 곡목이죠. BGM으로도 많이 쓰이다보니 귀에 익은 작품들이 많지만, 조금만 찾아보면 처음 듣는 왈츠가 쏟아져나올 정도로 많은 작품을 쓴 작곡가들이기도 합니다.





Gioacchino Rossini (1792-1868)

<Guillaume Tell> "Overture"

연주 : 서울교육대학교 에듀필 (2015 봄 연주회)


 - 로시니의 마지막 오페라. 흥미롭게도 로시니는 37세 때 <빌헬름 텔>을 완성한 이후 39년을 더 살았지만, 남은 기간 동안 오페라를 단 한 개도 쓰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당시 서양음악의 성향이 낭만파로 옮겨가고 성악가들의 창법도 변화하면서, 기본적으로 이전 시대의 작곡가였던 로시니가 이에 발맞추지 않은(혹은 못한) 것이라는 게 유력한 추측입니다. <빌헬름 텔>은 스위스 독립과 관련된 '빌헬름 텔'의 전설을 바탕으로 프리드리히 실러(1759-1805)가 쓴 동명의 희곡을 원작으로 한 '그랜드 오페라(프랑스를 중심으로 유행한 거대규모 오페라)'입니다.


[후기] 역시 첼로파트에게는 곡의 처음에 등장하는, 첼로만의 합주가 기억에 남지요.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Die Zauberflote> K.620 "Overture"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5 봄 연주회)


 - <마술 피리>는 모차르트가 죽은 1791년 완성한 징슈필(독일어 오페라)입니다. 이 작품은 모차르트가 프리메이슨 지부에서 함께 활동하던 극작가 에마누엘 시카네더(1751-1812)의 제안을 받아 만들었고, 실제로 프리메이슨 사상이 담겨 있다고도 합니다. 당시의 징슈필은 이탈리아어 오페라에 비하여 낮은 취급을 받았기 때문에 이 작품은 비엔나 변두리의 서민 대상 극장에서 초연되었는데, 당시의 상연은 100회 이상 반복되는 대 흥행을 기록했고 예술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다만 모차르트 자신은 오페라 두 개와 레퀴엠을 동시에 작업하는 무리를 하여 건강을 해쳤고, 결국 완성 두 달 후에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후기] 맨 처음의 2연음에 대하여, 일반적으로는 한음 한음 떼어서 연주하는 게 보통인데 특별한 이유는 아니고 대가들이 그런 식으로 연주를 했기 때문에 이를 관례적으로 따르는 것이라고 하더군요. 말년의 모차르트는 바흐의 음악을 연구하여 대위법 마스터가 되어 있었는데, 그걸 잘 드러내는 작품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Johan Halversen (1864-1935)

Suite Ancienne Op.31


 - 할보르센은 노르웨이 출신의 작곡가, 지휘자 겸 바이올린 연주자입니다. 초년부터 바이올린 연주자로 이름이 알려졌으며, 스톡홀름 음악원 졸업 후 콘서트마스터(악장)로 활동하며 헬싱키 음악원의 교수를 역임하던 중 상트페테르부르크, 라이프치히 등지에서 다시 음악 교육을 받았습니다.


  - 이후 노르웨이로 돌아와 베르겐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악장, 베르겐 국립극장 오케스트라 지휘자, 크리스챠니아(현 오슬로) 국립극장 오케스트라 지휘자 등을 역임하였고, 제1차 세계대전 직후에는 오슬로 음악애호협회 오케스트라(현 오슬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초대 음악감독을 맡아 활동하기도 하였습니다.


  - 그는 작곡가로서는 30곡 이상의 오페라와 연극 부수음악, 다수의 관현악곡 등의 작품을 썼으며, 에드바르트 그리그(1843-1907)의 노르웨이적 전통을 창조적으로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 외에도 대중들에게는 헨델의 하프시코드용 파사칼리아를 바이올린-비올라 이중주로 편곡한 것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Dmitry Shostakovich (1906-1975)

Festive Overture Op.96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13 10주년 기념 연주회)


 - 1954년에 개최된 10월 혁명 37주년 기념 연주회를 위하여 작곡되었습니다. 음악회의 지휘를 맡은 바실리 네볼신(1898-1958)의 부탁을 받아 만들었는데, 부탁을 받은 시점은 불과 연주회 1주일 전이었고 ㅡㅡ; 그걸 또 수락한 쇼스타코비치는 불과 3일만에 곡을 완성한 후 연주회 전날 악보를 넘겨, 연주회는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습니다. 급하게 작곡된 작품임에도 특유의 화려함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끄는 작품이 되었고,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의 주제곡으로도 사용된 바 있습니다.


[후기] 블로거는 이 작품과 은근히 인연이 많습니다. 우선 군복무 시절에 한 번 연주를 해 봤고(당시 블로거는 클라리넷 초보였고, 군악대 분위기에서 이걸 연습하느라 죽는 줄 알았습니다. ㅡㅡ;), 오케스트라 버전으로도 연주를 해 봤죠. 당시 곡의 파트보를 구하지 못해 직접 파트보 제작을 맡아 했는데, 급하게 만든 곡이라서 그런지 구조 자체는 상당히 단순해서 작업을 하면서 Ctrl+CV를 엄청나게 눌러댄 기억이 남아 있습니다. 아무튼 이 곡은 또 해 보고 싶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