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는 확실히 과거의 유물이 되었지만(블로거는 몇 달 전 이사를 오면서 수십 년간 모은 테이프들을 다 버렸습니다. 초창기 스타리그 결승전 녹화본이 많았는데), 10~20여 년 전에는 대부분의 집에 비디오테이프 기계가 하나씩은 있었습니다. 컴퓨터를 활용한 홈씨어터와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가 없던 시절 비디오테이프는 집에서 영화를 보게 하고, 필요한 기록을 영상으로 남길 수 있게 하는 소중한 존재였습니다.


[이제는 추억이 되어버린 그것]


 -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비디오테이프는 단 한 가지 모양새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마 당연하게도) 역사상 비디오테이프의 규격은 여러 종류가 있었으며, 이들 사이의 경쟁에서 최후까지 살아남은 것이 우리 기억에 남은 형태, 즉 VHS 규격이었던 것입니다. 어쩌면 비디오테이프의 규격을 둘러싼 전쟁은 이후에 계속되는 IT업계의 '표준전쟁'의 서막을 연 사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1. 베타맥스 : 먼저 나왔고, 크기가 작으며, 화질도 좋았다


 - VHS 규격이 세상에 나온 것은 1976년이었지만, 이미 그 전에 등장한 비디오테이프 규격이 있었으니 이름하여 '베타맥스(이하 베타)'입니다. 베타는 1년 전인 1975년 소니(네 바로 그 소니)가 개발하여 세상에 내놓았고, 막 태동하던 가정용 비디오 시장을 선점하여 표준으로 자리잡고자 하였습니다.


[베타맥스 테이프]


 - 그런데 일은 소니의 뜻대로 돌아가지 않았으니, 소니와는 별개로 독자적인 규격을 개발한 업체들이 또 있었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JVC에서 VHS를 1년 후에 내놓았고, 조금 지난 1980년 필립스와 그룬디히가 공동으로 '비디오2000'이라는 규격을 내놓는 등 다수 기업들이 가정용 비디오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이 가운데 비디오2000은 여러 모로 품질이 떨어졌고 인기도 없어서 얼마 뒤 시장에서 퇴출, 얼마 지나지 않아 시장은 VHS와 베타의 2파전이 되었습니다.


[VHS 테이프]


 - 기술력의 소니는 당연히 베타가 VHS를 처바를(?)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을 것입니다. 베타는 VHS보다 1년 먼저 나왔고(시장 선점), 테이프의 크기가 작아 기기를 소형화하는 데도 유리했으며(1980~90년대 비디오를 보신 분이라면 크기가 의외로 컸다는 것을 기억하실 겁니다), 심지어 화질도 VHS보다 뛰어났거든요. 품질과 시장 선점을 모두 충족한 베타의 승리가 예상될 법도 합니다. 그런데......




2. VHS : 후발주자에 화질도 구리다. 하지만!


[캠코더 비교. 베타 vs. VHS]


 - VHS는 여러 모로 불리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테이프도 쓸데없이 컸고, 화질도 (큰 차이는 아니었다고 하지만) 베타보다 구렸지요. 거기에 후발주자라서 베타를 쫓아가야 하는 위치였던 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VHS가 가지고 있었던 유일한, 하지만 결정적인 강점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재생 시간이었습니다.


 - 가장 많이 쓰인 규격을 기준으로, VHS의 재생 시간은 2시간으로 베타의 1시간30분보다 길었습니다. 사실 25% 차이라면 다른 부분에서 충분히 상쇄할 수 있는 차이로 보이는데, 이것이 매우 크게 작용했던 것은 영화의 재생 시간이 일반적으로 2시간 남짓이었다는 것입니다. 즉 VHS 테이프는 웬만한 영화를 테이프 1장으로 때울 수 있었는데, 베타는 그것이 불가능했던 것입니다.


[간단한 비교로, 베타 규격으로는 이보다 1.5~2배 많은 테이프가 필요합니다. 출처]


 - 이 작다면 작은 차이가 시청자의 선택을 갈랐으니, 대부분의 시청자는 (화질을 약간 희생하더라도) 영화 중간에 테이프를 갈아야 하는 귀찮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VHS를 선택했던 것입니다. 1980년대 초만 해도 어느 정도 점유율을 유지하던 베타는 1980년대 후반이 되면 점유율이 한 자리 수까지 떨어지는 등 급속히 시장에서 밀려났습니다. 소니는 재생 시간을 두 배로 늘린 Beta-II를 뒤늦게 내놓았지만, 이쪽은 베타의 장점인 화질을 희생한 것이고 ㅡㅡ; 대세에 영향을 주지도 못합니다.




3. 사실 숨겨진 요소는 이것이었다?


 - 한편 베타가 경쟁에서 밀려난 데는 소니의 폐쇄적 라이센스 정책이 한몫 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일단 소니는 베타 호환 기기에 대한 라이센스를 굉장히 까다롭게 관리했기 때문에, 베타 관련 기기의 가격이 VHS 쪽보다 상당히 비싸지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그래서 일단 초기부터 베타는 고급 소비자를 중심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것 자체가 나쁠 건 없지만, 문제는 이것이 대중화에 장애가 되었다는 점입니다.


 - 뿐만 아니라 소니는 테이프에 담기는 영상에 대하여도 매우 까다로운 규제를 가했습니다. 이를테면 베타 규격의 비디오 복제 기기를 이용하려면 영상에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장면이 들어가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에 동의해야 했습니다. 이것 또한 나쁠 건 없지만 결과적으로 이는 대부분의 컨텐츠 제작자들이 베타에 'ㅗ'를 날리고 규제가 별로 없었던 VHS로 몰리게 만들었습니다.


[VHS : 야 너네는 이런 거 없지?ㅋㅋㅋㅋㅋㅋㅋㅋ]


 - 결정적으로 그 컨텐츠 제작자들 중에는 포르노(네 그 포르노 말입니다) 업계가 있었는데, 그 자체로 선정적인 ㅡㅡ; 포르노 비디오가 베타로 나올 수 있을 리가 없었으니 이들은 전부 VHS로 갔고 포르노 비디오 시장이 엄청나게 커지면서 사람들 역시 VHS로 몰리게 된 것입니다. 이쯤 되면 베타는 화질만 좋지 볼 영화가 없는 규격이 되었고, 당연히 시청자의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것.




4. 결말


 - 결국 1988년 소니는 VHS 규격 기기의 생산을 시작함으로써 이 경쟁에서 사실상 GG를 선언하고 말았습니다. 대부분의 소비자와 기업체가 몰린 VHS는 이후 기술개발을 통하여 고속 영상검색, Hi-Fi 스테레오 음향 등의 기능을 추가, 기능에서까지 베타를 앞질러 버립니다. 우습게도 소니 또한 VHS 기술 개발에 이런저런 공헌을 했습니다. ㅡㅡ;


 - 물론 소니가 베타를 완전히 버린 것은 아니었고, 베타 규격의 비디오는 이후로도 계속 생산되어 여러 차례 개량도 되고(이를테면 베타캠) 일본이나 남아메리카 쪽에서는 어느 정도 점유율을 늦게까지 유지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방송국의 전문 장비에는 베타 규격이 VHS를 누르고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잡기도 했는데, TV 프로그램의 재생 시간이 보통 1시간30분 이내로 끊어져서 베타의 재생시간이 문제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방송용 베타캠. 출처]


 - 아무튼 베타는 그렇게 틈새시장용으로 간신히 살아남다가 2002년 레코더가 생산 중단, 2015년 테이프가 생산 중단되며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생각해 보면 의외로 최근까지 생산했다는 이야기). 그리고 VHS는 수십 년간 시장의 지배자로 군림하다가 1990년대 말 DVD라는 새 시대의 지배자가 등장하면서 쇠퇴, 2016년 일본의 마지막 생산업체인 후나이전기가 레코더 생산을 중단하는 등 종말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참고 : 

한글 위키백과, 영문 위키피디아, 나무위키

http://m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0506N038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11/0200000000AKR20151111007700091.HTML?input=1195m

http://news.joins.com/article/20343447




Paul Dukas (1865-1935)

Symphony in C




 - 폴 뒤카스는 프랑스 출신의 작곡가로, 드뷔시와 동시대에 활동했고 실제로 절친한 사이였지만 음악적으로는 상당히 다른 길을 추구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는 파리의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나 평생을 살았고, 어머니는 그가 5세 때 동생을 출산한 후유증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 그는 어려서부터 피아노를 배웠지만 아주 특별한 재능을 보이지는 않았고, 14세 때 병에서 회복하는 동안 작곡에 손을 대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는 1881년 16세의 나이로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여 조르주 마티아스(1826-1910)에게 피아노를, 테오도르 뒤부아(1837-1924)에게 화성학을, 에르네스트 기로(1837-1892)에게 작곡을 배웠습니다. 당시 함께 공부한 학생 중 클로드 드뷔시가 있었고, 두 사람은 이를 계기로 평생 친하게 지냈다고 합니다.


 - 음악원에서 뒤카스는 나름 주목받는 학생으로 음악원 내부 상을 수상하기도 했지만, 1888년 로마 대상 콩쿠르에서는 대상 수상에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이에 실망한 그는 이듬해 음악원을 자퇴한 후 작곡가 겸 평론가로 활동하기 시작합니다. 그의 첫 평론은 런던 코벤트 가든에서 구스타프 말러가 지휘한 <니벨룽겐의 반지> 공연의 리뷰였다고 합니다.


 - 작곡가로서는 1892년 초연된 <폴리우크트> 서곡이 본격적인 데뷔작이었는데, 그는 이후 많은 작품을 쓴 모양이지만 워낙 완벽주의자라 많은 곡을 그냥 폐기했고, 세상에 알려진 작품은 많지 않습니다. 자기 자신을 빡세게 비평했던 모양 하지만 지금까지 남아 있는 그의 작품들은 분명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그가 대단한 재능의 소유자였음을 후세 사람들에게 증명하고 있습니다.


 - 그의 작품세계는 베토벤으로 대표되는 독일 고전 스타일을 지향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 내면에는 프랑스의 음악 정신이 살아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대표작으로는 <라모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간주곡, 종곡>(1903)이 있으며, 유일한 교향곡 C장조는 1896년 작곡되어 이듬해 1월 폴 비달(1863-1931)의 지휘로 초연되었습니다. 총 3악장 구성으로 되어 있습니다.




Henryk Wieniawski (1835-1880)

Violin Concerto No. 2 in d Op. 22




 -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는 폴란드 출신의 음악가로, 생전에는 당대 최고의 바이올린 연주자로 유명하였습니다. 파가니니 사후 파블로 데 사라사테(1844-1908), 앙리 비외탕(1820-1881), 요제프 요하임(1831-1907) 등과 함께 19세기 중후반을 수놓은 전설적인 바이올린 연주자 중 하나로, 작곡가로서는 다수의 바이올린 곡을 남겼습니다.


 - 당시 러시아의 지배를 받고 있던, 폴란드의 루블린에서 출생한 비에니아프스키는 여느 대음악가들이 그렇듯 어릴 적부터 바이올린에 대단한 재능을 보였습니다. 실제로 그는 1843년 파리 국립고등음악원에 입학하였는데, 그가 프랑스인도 아니었고 나이도 너무 어렸지만 그의 재능을 확인한 음악원에서 특별히 입학시킨 것이라고 합니다. 졸업 이후 그는 유럽 각지를 돌며 연주회를 하였는데, 그의 동생이자 피아니스트인 조제프 비에니아프스키(1837-1912)와 함께 하기도 했다는군요.


 - 1847년에는 첫 작품인 <Grand Caprice Fantastique>을 작곡하였는데 그 때 그의 나이가 12세...... 이후로도 그는 연주와 작곡 활동을 병행하였는데, 바이올린 연주자로서 활동이 주였기 때문에 그가 작곡한 작품은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1860년 그는 이사벨라 햄프턴이라는 사람과 결혼하였는데, 부모가 그의 결혼을 반대하자 <Légende>(Op. 17)라는 작품을 써서 부모의 마음을 돌려놓았다는 일화도 있습니다.


 - 그 무렵 비에니아프스키는 안톤 루빈슈타인의 초청을 받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갔고, 1872년까지 10여 년간 살았습니다. 이곳에서 그는 러시아 음악 협회의 일원으로 오케스트라와 현악사중주 등의 연주활동과 바이올린 교육 등에 전념하였습니다. 그는 1872년부터 2년간은 루빈슈타인과 함께 미국을 여행하였고, 1875년에는 브뤼셀 왕립음악원에 비외탕의 후임으로 선임되는 등 정상급 바이올리니스트로 각지에서 명성을 얻었습니다.


 - 하지만 이 때부터 건강 문제가 그의 발목을 잡았는데, 심할 때는 연주회를 중단해야 할 만큼 건강이 악화되었다고 합니다. 1879년에는 러시아 각지를 돌며 연주회를 진행하던 도중 건강이 크게 악화되어 오데사의 병원에 입원했고, 차이콥스키의 후원자로 유명한 나데주다 폰 메크(1831-1894)와 비에니아프스키의 친구들 등 주변에서 많은 도움을 주었지만 결국 그는 이듬해 심장마비로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 생전 그는 파가니니의 뒤를 잇는 바이올린 테크니션으로 명성을 떨쳤고, 그에 걸맞(?)게 그의 바이올린 곡들은 대부분 그 난이도로 악명이 높습니다. 바이올린 협주곡 2번은 1856년부터 작곡이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실제 초연은 1862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이루어졌고, 1879년 출판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그의 친구이자 역시 전설적인 바이올리니스트인 사라사테에게 헌정되었습니다.



연주 : 비엔나 심포니 오케스트라, 1998. 지휘 : 블라디미르 페도세예프


Franz Lehar (1870-1948)

Waltz <Gold und Silber> Op. 79


 - 프란츠 레하르는 오스트리아에서 활동한 헝가리계 작곡가로, 헝가리식 이름은 '레하르 페렌츠(Lehár Ferenc)'입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코마롬에서 출생하였고, 헝가리계인 아버지는 군악대에서 지휘자로 근무했습니다. 프라하 음악원에서 안토닌 베네비츠(1833-1926)에게 바이올린을 배웠고, 이 때 안토닌 드보르자크를 만나 작곡에 도전해 볼 것을 권유받았지만 당시 음악원 규정상 연주와 작곡을 함께 전공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는 규정에 따르면서 작곡을 독학해야 했습니다.


 - 1888년 음악원 졸업 후 레하르는 아버지의 악단에 부지휘자로 합류하여 음악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고, 2년 후에는 최연소로 정식 밴드마스터가 되었습니다. 처음에 육군 쪽에서 활동하던 그는 중간에 잠시 해군으로 옮겼고, 이 때 첫 번째 오페라를 발표하였습니다. 이후 그는 다시 육군으로 옮겨 활동을 계속하였습니다.


 - 1905년 초연한 오페레타 <메리 위도우(유쾌한 미망인)>가 큰 호평을 받으며 레하르는 인기 작곡가의 반열에 올랐습니다. 이후 그는 비엔나로 거처를 옮겼고, 오페레타 작곡 활동에 전념하게 됩니다. 레하르는 20세기 초를 대표하는 비엔나의 오페레타 작곡가로 입지를 굳혔고, 큰 명성과 그에 걸맞는 부를 함께 거머쥐게 됩니다. 이 시기 그는 오페레타 뿐 아니라 왈츠, 교향곡 등의 기악곡 또한 다수 작곡하였습니다.


 - 승승장구하던 레하르도 1930~40년대를 풍미한 나치의 격동기를 피해갈 수는 없었습니다. 출신이 헝가리계였고 심지어 부인은 개종한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나치의 핍박을 받을 처지였지만, 히틀러가 그의 작품을 매우 좋아했기 때문에 ㅡㅡ; 그는 일단 나치의 탄압에서는 자유로울 수 있었습니다. 물론 어느 정도 나치에 협력하는 모습은 보여야 했기 때문에 그는 히틀러 50세 생일 기념 음악회를 주도한다거나 하는 활동을 하였습니다.


 - 그 와중에 그는 자기 주변에 있던 유대계 인사들을 인종청소로부터 보호하고자 노력했지만 뜻대로 되지는 않았던 모양입니다. 그리고 나치의 인종청소가 강화되자 그는 자기 아내와 함께 스위스로 망명, 취리히에 머물게 됩니다. 그는 금방 비엔나로 돌아가리라고 생각했지만 망명지에서 자기 아내가 사망하고 유대계 친구들이 학살당한 사실을 알게 되자, 비엔나 복귀를 포기하고 종전 후 잘츠부르크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냈습니다.


 - <금과 은>은 1902년 작곡되었으며, 메테르니히 공주가 주최한 '금과 은' 무도회의 음악으로 위촉받아 만들었습니다. 요한 슈트라우스 일족의 전통을 따르라는 주문에 레하르는 자기 고유의 색깔을 더해 작품을 썼고, 많은 인기를 거둘 수 있었습니다. 여담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말년의 레하르는 "새로 왈츠를 쓰게 된다면 '금과 은' 정도는 어림도 없으니 <우라늄과 원자폭탄> 이라고 이름을 붙여 볼까?"라는 개드립 농담을 한 적이 있다는군요.



Ivo Josipović (1957-)

<Samba da Camera>



 - 요시포비치는 크로아티아의 작곡가, 법학자 겸 정치인ㅡㅡ;입니다. 작곡가나 법학자로서의 업적도 볼만하지만, 특히 2010년부터 2015년까지 크로아티아의 대통령을 역임한 거물급 정치인으로 더 유명합니다.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의 중요 인물이었고, 현재는 '전진 크로아티아'당을 이끌고 있습니다.


 - 요시포비치는 1957년 유고슬라비아의 자그레브(現 크로아티아 수도)에서 출생하였습니다. 학창시절에는 축구선수로 활동한 적도 있다고 하며, 고등학교 재학 시절에는 자그레브의 2차 음악학교에서 음악 수업을 함께 받았습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자그레브 대학교 법학부에 진학하였는데, 그와 함께 자그레브 음악학원에도 등록하여 음악 수업을 계속 받았습니다. 진정한 복수전공


 - 그는 1985년 형법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1994년에는 범죄과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1984년부터는 모교에서 강사로 활동을 시작, 이후 법학부 교수로 선임되기도 했습니다. 그와 동시에 ㅡㅡ; 1983년 음악학교를 졸업한 후 작곡한 <삼바 다 카메라>가 1985년 유럽방송연합 상을 수상하면서 작곡가로서도 인정받게 됩니다. 1987년부터 2004년까지는 자그레브 음악학교의 강사 또한 역임하였습니다. 도대체 못하는 게 뭐냐 당신은


 - 정치 활동은 1980년 크로아티아 공산당(당시 크로아티아는 유고슬라비아 내의 '자치공화국'이었음을 감안합시다)에 입당하면서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1990년 전후 동유럽 사회주의권 붕괴 시기에 요시포비치는 공산당을 '사회민주당'으로 재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사회민주당의 첫 번째 법령을 만들기도 하였습니다. 이후 1994년 그는 너무 바빠서 정계에서 은퇴하였고, 작곡가와 법학자로서의 활동에 집중하였습니다.


 - 이후 2003년 그는 당시 총리였던 이비차 라찬(1944-2007)의 권유로 정계에 복귀하였고, 국회의원과 사회민주당 부대표로 활동하였습니다. 이후 2010년에는 사회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여 제3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습니다. 대통령 요시포비치는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내전 때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사이에서 벌어진 학살에 대해 사과하였고, 집권 초기에는 지지율 88%를 찍는 등 대단한 인기를 누리기도 했습니다.


 - 하지만 집권 내내 계속된 경제난 등 악재가 겹쳐 집권 말기에는 인기를 상당히 잃었고, 2014년 대선에서는 결선투표까지 가는 접전 끝에 크로아티아 민주동맹 소속 콜린다 그라바르키타로비치(1968-)에게 근소하게 패배, 대통령 임기를 마쳤습니다. 퇴임 이후에는 '전진 크로아티아'라는 중도좌파 성향의 당을 창당하고, 자유인민당과 연합하여 총선에 후보도 내 봤지만 역시 크로아티아 민주동맹에 패배하였습니다.이후로는 전진 크로아티아 당 대표로 정치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여담으로 그는 대통령 재직 말기인 2014년 태권도 명예9단을 수여받은 적도 있습니다. ㅡㅡ; 이는 요시포비치 자신이 태권도를 잘 해서라기보다, 크로아티아가 동유럽에서 태권도 인기가 가장 높은 편이고 세계랭킹 상위권 선수들도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김순남 (1917-1983?)

<산유화>



 - 이번에는 한국인 작곡가를 다루어 보겠습니다(생각해 보면 우리는 오히려 한국인 작곡가들을 더 모르는 것 같기도 합니다). 김순남은 다수의 가곡과 한국 최초의 교향곡, 협주곡, 오페라를 쓴 대작곡가이지만 해방과 분단의 격동기에 북한을 선택하고, 북한에서도 정치적 숙청과 복권을 거듭하며 그 존재 자체가 묻혀 버린 비운의 작곡가이기도 합니다.


 - 김순남은 서울 낙원동에서 출생하였습니다. 낙원상가?? 어릴 적에는 비교적 유복한 환경에서 자란 것으로 보이며, 1932년 경성사범학교(現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 입학한 후에는 피아노 연주나 취주악단 지휘 등 음악적 활동에 열중하였다고 합니다. 졸업 후 몇 년간 교사로 근무하던 중, 1937년 일본으로 유학하여 다음 해 도쿄 고등음악학원 작곡부에 입학하였습니다.


 - 도쿄에서 김순남의 가장 중요한 스승으로 하라 타로(1904-1988)가 있는데, 그는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계열 음악가로 김순남에게 사상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재학 중 그는 일본 현대작곡가연맹의 창작 발표회에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출품하였는데, 당시 출품작인 피아노 소나타 1번은 상당히 진보적이고 현대적인 작법을 사용하여 보수적인 일본 음악계에 화제가 되었다고 합니다.


 - 1942년 귀국 후 김순남은 '조선음악협회'에 음악가의 일원으로 가입하였는데, 이는 조선총독부가 조직한 관제 단체였습니다. 다만 한편으로는 좌익 성향의 비밀 조직인 '성연회'를 만들어 활동하기도 하였다니, 그가 딱히 친일부역자였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해방 전까지 그는 버르토크, 스트라빈스키 등 당대 첨단을 달리는 작곡가들의 기법을 적극 활용하여 꽤 전위적인 곡을 썼습니다.


 - 해방 후에는 본격적으로 정치적 활동을 시작했고 그의 작품도 사회 참여적인 색채를 본격적으로 갖게 되었습니다. 해방 직후 <해방의 노래> <농민가> 등 소위 '해방가요'를 다수 작곡하여 인기를 끌었고, '조선음악건설본부'에 가입하였지만 이 단체가 좌익-우익 및 친일-민족 대립으로 쪼개진 후에는 좌익계와 민족계가 합세한 '조선음악가동맹'으로 옮겨 활동하였습니다.


 - 이 시기 교향곡 1번과 피아노 협주곡 1번, 합창 교향곡 <태양 없는 땅> 등 본격적인 관현악곡 또한 작곡하였는데, 각각 한국 최초의 작품들이었지만 안타깝게도 악보는 전하지 않습니다. 김순남은 좌익 인사였음에도 그의 재능은 미군정 쪽에서 주목할 정도였고, 문화 담당 장교인 엘리 하이모비츠는 그에게 미국 유학을 주선하려고도 했지만 본인과 미군정 양쪽의 거부로 무산되기도 했습니다.


 -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좌익 인사에 대한 대대적인 압박이 시작되자, 김순남은 아내와 외동딸을 놔둔 채 다른 인사들과 함께 월북하였습니다. 북한에서는 조선음악가동맹 부위원장과 평양음악대학 교수를 역임하였고, 작곡 활동도 계속 이어갔는데 이 시기에 만들어진 오페라 <인민유격대>는 한반도에서 작곡된 최초의 오페라입니다.


 - 한국전쟁 도중인 1952년 김순남은 소련으로 유학하여, 모스크바 차이콥스키 음악원에서 아람 하차투리안을 사사하였습니다. 그런데 종전 직후인 1953년 그는 돌연 본국으로 소환 명령을 받게 되었고, 주변인들은 여러 유학생 중 그 혼자만 소환되는 것을 의심하였지만 본인은 별 생각 없이 귀국하였습니다. 그리고 남은 평생을 옥죄는 고난의 시기가 시작됩니다.


 - 그가 소환된 것은 실제로 그가 남로당 쪽과 연관이 있었기 때문에(박헌영과 친분이 두터웠음), 남로당을 숙청하면서 그를 엮어 들어간 것이었습니다. 귀국하자마자 그는 강한 사상 비판을 당하고, 1958년에는 창작에 관한 권한을 모두 박탈당하고 함경남도 신포조선소의 주물공으로 쫓겨나고 말았습니다. 이후 1964년이 되어서야 다시 음악가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창작 권리를 회복한 김순남은 다시 활발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지만, 얼마 뒤 폐결핵이 발병하면서 활동을 중단하고 투병생활에 들어가야 했습니다. 투병이 길어지면서 그는 북한 사회에서 조금씩 잊혀졌고, 결국 명예회복을 하지 못한 채 1983년 경 신포에서 사망하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그는 남한에서는 소위 빨갱이였고, 북한에서는 숙청당한 인물이었기 때문에 그의 작품은 커녕 존재 자체가 오랫동안 묻혀 있었습니다. 그나마 남한에서는 1980년대 말 좌익 음악가들의 작품이 해금된 이후 조금씩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남한에 남은 외동딸 김세원(1945-, 성우로 활동)씨가 자료를 수집하여 <나의 아버지 김순남>이라는 책으로 내기도 했습니다. 김희조(1920-2001), 백남준 등의 거장들도 김순남에게서 음악을 배우거나 강한 영향을 받았다고 고백한 바 있습니다.


 - 하지만 교향곡과 협주곡 등 그의 많은 작품들이 소실되었고, 북한에서는 아직도 언급 자체가 금기시되는 면이 있어서 김순남의 작품세계를 온전히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나마 현재 알려진 것들은 주로 가곡과 해방가요들이며, 그 중에서 김소월의 시에 곡을 붙인 <산유화>의 경우 조수미 등의 유명 성악가들이 녹음한 바 있어 일반 대중에게도 어느 정도 유명합니다.




Giovanni Battista Pergolesi (1710-1736)

<Stabat Mater>



 -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는 이탈리아 출신의 작곡가, 바이올린 및 오르간 연주자입니다. 바로크-고전파 전환기에 혜성처럼 등장하여 명곡들을 남겼지만, 아주 젊은 나이(26세!)에 질병으로 세상을 떠난 비운의 음악가이기도 합니다. 본명은 '조반니 바티스타 드라기'인데, 조상의 출신지인 페르골라에서 따와서 '페르골레시'로 불린 게 굳어진 것이라고 합니다.


 - 페르골레시는 중부 이탈리아의 제시(안코나 근교)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려서는 가난했고 한쪽 다리를 저는 등 건강도 좋지 않았다는데, 그의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알아본 지역 영주의 경제적 지원을 얻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음악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1725년 그는 나폴리로 유학하여 가에타노 그레코(1657-1728), 프란치스코 페오(1691-1761)를 사사하였습니다.


 - 1731년 음악원을 졸업한 페르골레시는 작곡가로 활동하여 일찍부터 많은 명성을 얻게 됩니다. 그는 처음에는 나폴리 귀족 악단에 들어가 일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나폴리의 오페라 극장으로 진출하였습니다. 그의 명성을 드높인 작품은 1733년 발표한 단막 오페라 <마님이 된 하녀>였는데, 본래 다른 오페라의 일부였던 이 작품은 흥행에서 대성공을 거두었고 현재는 '오페라 부파(희극 오페라)'의 기틀을 잡은 명작으로 평가됩니다.


 - 오페라의 성공을 바탕으로 1734년에는 나폴리 예배당에 악장 대리로 취임하였습니다. 하지만 그는 폐결핵을 지병으로 앓고 있었고, 이듬해부터 병이 크게 악화되어 의사의 권유에 따라 1736년 2월 타지로 요양을 떠났지만 차도가 없이 한 달 후 요절하고 말았습니다. 그가 사망한 해에 만들어진 마지막 작품이 <스타바트 마테르>(십자가에 못박히는 예수를 바라보는 성모 마리아의 애가(哀歌))라는 게 의미심장합니다.


 - 페르골레시의 음악은 웅장함보다는 섬세함, 그리고 풍부한 멜로디와 화성이 장점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그는 죽은 지도 20여 년이나 지난 후 난데없는 논쟁에 휘말리기도 했으니, 대표작 <마님이 된 하녀>가 프랑스에서 초연되었을 때 장 자크 루소(1712-1778)와 장 필리프 라모(1683-1764)를 중심으로 프랑스 오페라 - 이탈리아 오페라를 놓고 벌어진 소위 '부퐁 논쟁'이 그것입니다.



 - 우리에게는 흔히 <내가 고자라니>의 주인공으로만 알려져 있지만, 실존인물 심영(1910-1971?)은 일제강점기 유명 배우우이자 친일 연극인이었고 해방 후에는 좌익 계열로 전향하여 꽤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인물입니다. 재미있게도 당시 한반도의 연예인들 중에서는 심영처럼 친일/좌익 콤보를 밟았던 사례가 상당히 많습니다. 이번에는 고자라니 말고 '진짜' 심영의 일생을 간략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존인물은 적어도 고자는 아니었다는군요]



1. 조선의 슈퍼스타 심영


 - 심영의 본명은 심재설(沈載卨)입니다. 일단 심영의 출생지에 대하여는 두 가지 의견이 나뉘어 있는데 강원도 철원에서 출생하여 어릴 적 서울로 이주하였다는 주장이 있고, 아예 처음부터 서울에서 태어났다는 설도 있습니다. 아무튼 심영이 어린 시절부터 서울에서 자랐고 서울에서 학교를 다닌 것은 분명한데, 의정부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2고등보통학교(現 경복고등학교)에 진학하였다고 합니다(인터넷에서 찾은 정보에는 다른 이야기도 있습니다. 참고).


 - 이 무렵 심영은 무용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는데, 단순히 무용만 하러 다닌 게 아니라 이런저런 사회 운동에도 참여하였던지 심영은 사회활동 참여를 이유로 학교에서 퇴학 처분을 당하고 말았습니다. 이후 심영은 한국 최초의 극단(劇團) 중 하나인 '토월회'와 연을 맺게 되는데, 토월회 연구생 신분으로 몇몇 연극에 엑스트라로 출연하면서 연기 인생을 시작하였습니다. 


 - 심영은 1929년 <간난이의 설움>을 통하여 본격적으로 연극계에 데뷔하였고, 여기서 호평을 받은 그는 다음해 <남경의 거리>의 1막 주인공으로 깜짝 캐스팅된 것을 계기로 스타로 발돋움하게 됩니다. 심영의 연기력은 바다 건너까지 알려져 일본에서도 여러 차례 공연을 할 정도로 대단한 인기를 누렸으며, 가히 1930년대 초 심영은 조선 최고의 인기스타 중 한 명이었습니다.


[1930년대 심영. 흑백사진으로만 봐도 잘 생겨 보이긴 합니다. 1937년 12월 2일 동아일보]


 - 다만 1930년대 후반 들어 새로운 대스타 황철(1912-1961)이 등장하며 심영은 최고의 자리에서 내려오게 됩니다. 두 배우는 <춘향전> <단종애사>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등에서 함께 출연하여 인기 경쟁을 벌였는데, 1936년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에서 심영과 황철이 각각 홍도 남편(이쪽이 악역), 홍도 오빠('홍도야 울지 마라' 노래에 등장하는 그 오빠) 역을 맡은 것을 계기로 둘의 인기는 역전되어 버렸습니다.



2. 친일에서 좌익으로


 - 인기를 빼앗겨 삐뚤어진 것인지, 심영은 이 무렵부터 친일의 길로 빠져들게 됩니다. 1939년 심영은 극단 고협 대표로 취임하였는데 이 극단은 적극적인 친일 성향 단체로, 주로 한다는 일이 농어촌을 순회하며 일본 프로파간다 공연을 한다든지 만주에서 중일전쟁 참전 중인 일본군을 위한 위문공연을 한다든지 하는 짓이었습니다.


 - 심영은 극작가 박영호, 연출가 나웅 등과 함께 고협을 대표하는 위치에 있었으며 이들은 현재의 서울 불광동 일대에 '고협촌'이라는 연극인 마을을 만들고 집단 생활을 하기도 했습니다. 고협은 1940년 조선총독부의 후원으로 만들어진 '조선연극문화협회'에 참여하였습니다. 심영은 여러 친일단체에서 활동하는 와중에 일본 프로파간다를 위한 연기 활동에도 다수 참여하였습니다.


 - 1943년 제2회 연극경연대회에서 심영은 일어극(日語劇) 부문 개인연기상을 수상하였고, <너와 나> 등 친일 영화에도 다수 출연하여 연기하였습니다. 물론 그가 주도하는 고협에서도 <빙하>니 <해당화 피는 섬>이니 하는 일본 프로파간다 연극을 다수 공연하였고, 거기에 심영이 출연하였음은 물론입니다. 그렇게 적극적 친일파로 맹활약하던 도중 갑자기 해방이 찾아왔습니다.


 - 기대고 있던 기둥을 잃어버린 심영의 선택은, 정말 역설적이게도 '좌익'이었습니다(이전 글에도 언급한 바 있지만 제국주의 일본은 (당연히) 극렬한 반공주의 집단이었습니다). 심영 뿐만 아니라 당시 많은 연예인들이 좌익 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을 보였는데, 구체적인 이유는 분명치 않지만 일제강점기까지도 사회적으로 무시당하는 '광대'였던 연예인들이 (친일을 했든 않았든)만인 평등을 주장하는 사회주의에 경도되는 게 자연스러웠을 것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3. 고자......는 되지 않았지만


 - 어쨌든 심영은 해방 후 좌익 계열 연극단체인 '연극동맹'에서 활동하면서, 이번에는 친일 대신 좌익 성향의 연극을 다수 공연하고 다녔습니다. 좌우 대립이 극심했던 시대에 심영은 당연히 우익 쪽의 주요 표적이 될 수밖에 없었는데, 1946년 박영호 작 <님>(<야인시대>에도 등장하지만 실존 작품이기도 합니다)을 공연하고 이동하던 도중 김두한 일파에게 습격을 받고 영 좋지 않은 곳이 아니라 하복부에 총상을 입었습니다.


[심영 피습사건 기사. 1946년 3월 16일 동아일보]


 - 그 때 김두한은 실제로 심영이 입원한 병원에 쳐들어갔고, 그에게 해코지를 하려다가 그의 어머니를 보고 마음이 누그러져 협박만 하고 나왔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김두한 본인의 증언으로 100% 믿기는 어려운 이야기입니다(이 증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게 <야인시대>의 해당 부분). 심영은 총상에서 회복한 이후에도 계속 활동을 이어갔고, 1947년에는 파업 선동 혐의로 미군정 경찰에 체포되었습니다.


 - 아마 이쯤 되자 남쪽에서는 더 이상 좌익 활동이 어렵다고 판단하였는지, 심영은 1947년 말 월북을 하였습니다. 이 무렵이 되면 좌익 활동을 용인하던 미군정이 점차 좌익에 대한 억압을 강화하고 있었으며, 이를 버티지 못하고 남로당 등 많은 좌익 계열 인사들이 38선을 넘어 북한으로 갔던 것입니다. (여담으로) 심영의 라이벌이었던 황철 역시 좌익 계열 활동을 하다가 1948년 8월, 즉 분단 막판에 월북하였습니다.


 - 월북 이후에도 황철과 함께 배우로 이름을 날렸고, 공훈배우 칭호를 받았습니다(황철은 전쟁 중 오른팔을 잃었고, 의수를 끼고도 열연을 거듭하여 최초의 '인민배우'가 되었습니다). 이후 한국전쟁 때는 인민군 점령지에 남아 있던 연극인 등 여러 연예인들을 강제 납북하는 데 주도적으로 참여하기도 하였습니다(당시 끌려갔다가 탈출한 최은희(1926-)에 따르면 조선인민군 군복 차림으로 와서 여러 연예인들을 납치해갔다고).


 - 그렇게 요란하게 북한으로 건너간 심영이지만, 최후는 분명치 않습니다. 남로당 숙청 때는 같이 숙청되었다가 어찌어찌 복권되었다고 하는데, 이후 1971년 다시 숙청되어 탄광 노동자로 일하다 폐결핵으로 사망했다는 설, 연극영화학교 교원으로 활동하다가 자연사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5. 정리 : 연예인의 친일


 - 우리에게 이상한 쪽으로 잘 알려진 심영을 선택하였는데, 그 외에도 상당히 많은 문화예술인(특히 연예인)들이 일제강점기에는 친일 노선을, 해방 직후에는 좌익 노선을 택하였습니다. 얼핏 생각하기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데, 블로거는 그들의 선택을 '광대'에 대한 사회적 통념에서 찾아보고자 합니다.


 - 일제강점기 이후 대중매체가 발달하면서 인기 연예인들은 사회적 관심을 받는 스타가 될 수 있었지만, 사람들은 연예인에 열광하면서도 그들을 조선시대까지 천시당하던 '광대' 취급하곤 했습니다. 이런 처지에 놓인 사람들은 으레 복잡한 행보를 거듭하기 마련, 많은 수의 연예인들은 권력에 영합하여 입지를 넓히면서도 한편으로는 자신들을 무시하는 세상에 한을 가지고 있었을 것입니다.


 - 그런 그들에게 만인 평등을 외치는 사회주의는 하나의 복음처럼 들렸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그들이 친일을 했든 하지 않았든, 해방 이후 좌익에 경도된 것은 이상할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심영 뿐 아니라 황철, 문예봉, 신불출 등 당대 인기 연예인 중 많은 수가 좌익 계열에서 활동하였고 이후 월북하여 북한으로 가게 됩니다. 물론 북한 역시 그들이 생각하는 평등 사회는 아니었고, 그들 중 많은 수가 숙청 등으로 쓸쓸하게 퇴장하였습니다.


 - 그들의 생각과는 별개로, 인기 연예인의 친일 행위는 지배자 일본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유용한 통치 수단이었을 것임에 분명합니다. 그들은 사회 전체의 주목을 받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사람들을 설득하는 데 능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일본 체제에 영합한 연예인들은 각종 공연과 위문행사 등을 통하여 사람들에게 당대 일본의 프로파간다를 심는 데 앞장서 활약하였던 것입니다.


 - 연예인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행위는 어찌 보면 해방 이후 오늘날까지 근근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많은 사람들이 연예인의 정치적 행보에 특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도, 그들이 정치적으로 가진 영향력과 이를 부당한 권력 유지를 위해 악용해 온 과거 때문일 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연예인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힘에 대한 자각을 가지고, 그 힘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참고 : 

한글 위키백과, 나무위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www.kmdb.or.kr/vod/mm_basic.asp?person_id=00020233#url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0388568 (황철 일대기 1부. 중간에 심영과의 라이벌리가 언급되어 있음)

http://www.ohfun.net/?ac=article_view&entry_id=10996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467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다른 곳과 설명이 좀 다른데 참고용으로 링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