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Symphony No.1 in g Op.13 <Winter Dreams>

연주 : 건국대학교 KUPhil (2015 가을 연주회)


 - 차이콥스키의 첫 번째 교향곡은 그가 28세 때 완성하였습니다. 음악을 전공하고 싶었던 차이콥스키는 자신의 아버지 때문에 법무관으로 진로를 틀어야 했는데, 법률학교에 재학했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음악원이 신설되면서 그는 음악원에 입학하여 음악을 다시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졸업 후에는 니콜라이 루빈시테인(1835-1881)의 권유로 모스크바 음악원의 교수로 재직하게 되었는데, 음악원에 재임한 1866년부터 교향곡 작곡에 착수하여 2년 후 완성한 작품이 바로 교향곡 1번입니다. 차이콥스키는 각 악장에 각각 "겨울 여행의 몽상" "어둠의 땅, 안개의 땅" "춥고 오랜 여행에 지친 여행자의 꿈" "꽃망울이 열리고"라는 표제를 붙였는데, 이것이 무슨 의미인지는 불분명하나 대체로 고향 러시아를 상징하는 '추운 겨울'에서 온 것이 아닐까 추정하고 있습니다. 초기 작품이라 작곡 기법상으로는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데, 그래서인지 이 작품은 초연에서 평이 괜찮았음에도 몇 차례 곡을 고쳐 1875년 출판하였습니다.


[후기] 블로거는 별로 연주해본 적 없는 새로운 작품을 더 좋아합니다. 물론 완전 새롭게 연습을 해야 하니 부족한 실력에 고생이 많지만, 그래도 하던 것만 자꾸 하면 재미가 없잖아요. 이 작품은 예전에 다른 곳에서 딱 한 번 연습만 해 본 곡이라 어딘가에서 꼭 한 번 연주해보고 싶었는데, 감사하게도 기회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The Nutcracker> Suite Op. 71a
연주 : 중앙대학교 루바토 (2011 가을 연주회)


 - 차이콥스키가 작곡한 3대 발레곡 중 하나. 원작은 독일의 작가 E. T. A. 호프만(1776-1822)의 동화로, 차이콥스키의 발레곡은 마리우스 프티파(1822-1910)가 2막 3장으로 각색한 대본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차이콥스키는 이 곡의 작업에 어려움을 느끼고, 발표를 한 시즌 미루면서 미국과 서유럽으로 연주 여행을 떠납니다. 이 시기 동생이 사망하는 등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여행 과정에서 악상을 채운 차이콥스키는 귀국 후 본격적으로 곡을 완성시킵니다. 발레는 중간에 안무가가 교체되는 등 많은 우여곡절 끝에 작곡 9개월 후에야 초연되었고, 평도 그다지 좋지 않았습니다. 다만 이후 차이콥스키가 편곡하여 내놓은 관현악 모음곡은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발레 또한 이후에는 크게 인정받아 현재는 미국 발레단 공연수입의 40% 가까이를 차지할 만큼 인기 레퍼토리가 되었습니다.


[후기] 전곡 연주보다는 한 곡을 뽑아 앙코르 연주로 해 본 기억이 더 많네요. 역시 편성 문제(그놈의 하프 등등) 때문에 아마추어에서는 전곡을 모두 연주하는 경우는 많지 않고, 구하기 어려운 악기가 들어있는 몇몇 곡을 빼고 연주하는 게 보통.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Symphony No.5 in e Op.64
 연주 : 한국 대학생 연합 오케스트라 KUCO (2011 여름 연주회, 2014 겨울 연주회),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14 신입생 환영 연주회), 서강대학교 ACES (2015 가을 연주회)

 - 차이콥스키는 1880년대 후반쯤이 되면 전 유럽에 알려진 유명한 작곡가가 되어 있었습니다. 나데주다 폰 메크 백작부인에게 거액의 후원을 받던 차이콥스키는 1888년 초 모스크바 근교의 작은 마을로 이주하였고, 이곳에서 교향곡 5번의 작곡에 착수하여 8월에 완성합니다. 이후 11월에는 자신의 지휘로 초연되었는데, 청중에게는 호평을 받았지만 비평가들은 상당히 박한 평가를 내렸다고(차이콥스키는 지휘자로는 상당히 저질이었다니 어쩌면 지휘가 신통찮아서였을지도). 흥미롭게도 차이콥스키 스스로도 이 곡을 별로 좋아하진 않았다는군요.

[후기] 무난하게 좋아하는 곡 중 하나. 차이콥스키의 교향곡은 4번과 6번이 모두 굉장히 빡센(?) 곡이다보니, 아마추어 쪽에서는 5번이 가장 인기 있습니다. 작품 내적으로도 꽤 서정적이면서 마무리가 명쾌하니까요. 이 곡은 정말 클라리넷으로 평생 한 번 연주해보고픈데, 1악장의 클라리넷 솔로 부분은 정말 잊을 수 없는 매력이 있거든요. 어느새 4번째 연주회네요.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6)
<Swan Lake> Suite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11 신입생 환영 연주회(발췌) / 클라리넷), 한국 대학생 연합 오케스트라 KUCO (2013 여름 연주회(발췌))


 - <백조의 호수>는 총 4막 29장, 36곡으로 된 방대한 규모의 발레음악입니다. 당시에는 발레음악이 단순한 BGM 정도로 인식되었고, 차이콥스키의 작품에 대하여도 처음에는 이와 관련한 논란이 많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당시의 인식과 관계없이 차이콥스키의 발레음악은 탁월한 예술성을 보여주었으며 결과적으로는 발레음악에 대한 세상의 인식까지 바꾸는 성과를 가져옵니다. 이 작품은 차이콥스키의 3대 발레음악(<호두까기 인형>, <잠자는 숲속의 공주>) 중 하나로 손꼽히며, 차이콥스키는 여기서 6곡을 뽑아 관현악 모음곡으로 정리하였습니다.


[후기] 차이콥스키의 관현악을 연주할 때마다 느끼는 사실이지만, 클라이막스 부분을 최대한 극적으로 처리하는 데는 정말 탁월한 작곡가입니다. 물론 거길 연주하는 연주자들에게는 po노가다wer. 아무튼 이 작품에도 재미있는 곡들이 많죠. 다만 몇 가지 미묘한 문제들(편성에 하프가 있다든지......) 때문에 아마추어에서 전곡을 통으로 연주하는 건 별로 본 기억이 없습니다.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Symphony No.6 in b <Pathetique>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09 정기연주회), 중앙대학교 루바토 (2011 가을 연주회)


 - 차이콥스키의 마지막 교향곡. 차이콥스키는 이 곡의 표제를 두고 고민을 거듭하다가, 동생의 제안을 받고 <비창(Pathetique)>이라는 표제를 붙였다고 합니다. 4악장은 일반적인 경우와는 달리 매우 우울하며 조용하게 사라지듯 끝나는데, 이는 차이콥스키의 최후를 예견하고 있다는 설도 있습니다. 실제로 차이콥스키는 <비창>이 초연된 지 불과 9일 후에 급사하였으며, 사인(死因)은 콜레라설, 자살설, 비소 중독으로 인한 명예살인설 등이 있으나 확실한 것은 없습니다. 여담으로 <비창>은 조카인 다비도프에게 헌정하였는데, 둘 사이가 동성애 관계라는 설도 있지만 이 역시 확실치는 않습니다. 다비도프는 차이콥스키가 사망한 지 13일 후 자살로 생을 마칩니다.


[후기] 연주를 해 보면 힘든 곡이 있고, 어려운 곡이 있는데 이 곡은 '힘들고 어렵습니다'.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도 있고, 4악장 같으면 생소한 리듬감에 그 느낌을 살리기가 아주~아주 어렵죠. 뭐 그래도 눈 앞에 닥치면 어떻게든 하더이다.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Piano Concerto No.1 in bb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09 정기연주회)

- 차이콥스키는 1874년 12월 대략 1개월 남짓의 빠른 시간동안 피아노 협주곡을 작곡하여, 모스크바 음악원의 원장이던 니콜라이 루빈슈타인(1835-1881, 피아니스트 안톤 루빈슈타인의 동생)에게 조언을 구하러 갔습니다. 그런데 당시 루빈슈타인은 이 곡에 대해 "연주가 불가능하다" 등의 대혹평을 쏟아냈고, 격분한 차이콥스키는 곧장 악보를 들고 뛰쳐나갑니다. 루빈슈타인이 당황하여 약간의 수정만 있으면 자신이 초연을 맡겠다고 말했지만 "음표 한 개도 고칠 수 없다"고 선언한 차이콥스키는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인 한스 폰 뷜로(1830-1894)에게 초연을 부탁하였고, 이 곡을 좋게 평가한 뷜로는 기꺼이 초연을 맡아 대성공을 거둡니다. 나중에 루빈슈타인은 차이콥스키와 화해하고 곡의 모스크바 초연을 직접 협연하기도 하였습니다. 작곡 당시의 우여곡절과는 반대로,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3개 중 압도적으로 인기 있는 작품이 되어 있습니다. 여담으로 뷜로는 보스턴에서의 초연을 성공적으로 마친 이후 차이콥스키에게 소식을 알리는 전보를 보냈는데, 이것이 보스턴-모스크바 사이의 최초의 전보라는 말도 있습니다.

[후기] 어쩌다보니 러시아 쪽에서 온 피아니스트와 연주를 했더랍니다. 지휘자 때문에 영 신뢰성이 가는 사람은 아니었는데, 어쨌든 연주 자체는 상당히 파워풀하고 좋았던 것으로 기억.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Slavonic March Op.31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09 정기연주회), 중앙대학교 루바토 (2011 가을 연주회)


 - 이 작품은 1876년 발발한 세르비아-투르크 전쟁(나중에 러시아-투르크 전쟁으로 확대)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습니다. 민족주의가 발흥하던 시대에 이 전쟁은 슬라브 민족 전체의 전쟁으로 선전되었고, 슬라브 민족의 맹주를 자처하는 러시아는 전쟁에 직접 참여하기 전부터 이미 세르비아를 지원하는 입장에 있었습니다. 당시 모스크바 음악원의 원장이던 니콜라이 루빈슈타인의 주도로 상이군인에 대한 의연금을 모금하는 자선 음악회가 개최되었는데, 이 작품은 루빈슈타인의 위촉을 받고 작곡한 것입니다. 작곡 배경이 배경이다보니 곡 전반에 슬라브 민요풍의 선율이나 러시아 황제 찬가 등 민족주의를 고취하는 요소들이 잔뜩 들어가 있습니다.


[후기] 보통 서곡 자리에 많이 들어가죠. 하나클랑에서 연주회를 할 땐 지휘자가 영 이상한(?) 사람이라 서곡-협주곡-교향곡의 일반적인 순서를 거꾸로 뒤집어 연주하는 바람에, 이 곡을 가장 마지막으로 연주했던 기억이 납니다.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Violin Concerto in D Op.35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06 정기연주회)


 - 동성애자였던 차이콥스키는 자신에게 강한 집착적 구애를 멈추지 않는 여제자와 마음에도 없는 결혼을 했지만, 당연하게도 결혼생활은 머지 않아 파탄지경에 처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찾아온 우울증을 회복하고자 차이콥스키는 스위스의 제네바 호수 근처로 요양차 떠나게 되는데, 이곳에서 자신의 제자인 바이올리니스트 요시프 코테크(1855-1885)와의 작업을 통해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하였습니다. 다만 코테크는 명성 있는 연주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곡은 이런저런 우여곡절을 거쳐 3년 후 아돌프 브로드스키(1851-1929)의 협연으로 초연됩니다. 당시에는 평가가 엇갈렸지만 현재는 차이콥스키의 대표곡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후기] 차이콥스키의 협주곡은 연주할 때 뭔가 비슷한 느낌 같은 게 있습니다. 정서랄까, 흐름이랄까, 오케스트레이션이랄까, 능력이 부족해서 뭐라 말로 정리하긴 어렵군요. 아무튼 바이올린 협주곡과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해보면 서로 비슷해보이는 무언가를 잡을 수 있습니다(예전에 이 두 곡을 실제로 헷갈렸던 경험도 있었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