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annes Brahms (1833-1897)

Hungarian Dances

연주 : 건국대학교 KUPhil (2013 가을 연주회(5번)), 서울교육대학교 에듀필 (2015 가을 연주회(1번))


- 브람스는 20세 무렵 헝가리 출신의 바이올린 연주자인 에두아르트 레메니(1828-1898)와 연주여행까지 함께 할 정도로 깊은 관계를 맺었는데, 특히 레메니를 통하여 헝가리의 집시 음악을 접한 브람스는 깊은 인상을 받고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그의 연구는 1869년과 1880년 두 차례에 걸쳐 총 4집 21곡의 피아노 연탄곡(두 사람이 연주하는 피아노곡)으로 결실을 맺었고 큰 인기를 얻게 됩니다. 다만 1869년의 작품 발표 이후 헝가리 출신 음악가들이 표절 의혹을 제기하였고, 법정 소송까지 치렀지만 브람스 자신이 '편곡자'임을 명시해두는 바람에 흐지부지되는 해프닝도 있었습니다.


[후기] 주로 1번과 5번만 떼어 앙코르 곡으로 많이 연주하죠. 저 두 곡이 워낙 넘사벽으로 유명해서, 아마추어에서 전곡 연주를 볼 수 있을지 궁금해지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5번의 트리오는 느리게 늘여서 연주하는 지휘자와 앞뒷 부분과 비슷한 템포로 연주하는 지휘자로 갈리죠.





Camille Saint-seans (1835-1921)

Introduction et Rondo Capriccioso Op.28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3 가을 연주회)


- 바이올린 협주곡의 형태를 띤 이 작품은 파블로 데 사라사테(1844-1908)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라사테는 당대 최고의 바이올린 연주자 중 하나였고(그가 자신의 실력을 자랑(?)하려고 만든 작품이 바로 유명한 <치고이네르바이젠>), 그의 연주를 본 생상스는 강한 인상을 받고 사라사테를 위한 바이올린 곡을 만들어 헌정하는데 바로 이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입니다. 단일 악장으로, 느린 서주와 상당히 변형된 론도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후기] 항상 언급하지만 아마추어 악단이 연주하는 협주곡은 협연자의 연주를 함께 감상하고 받쳐주는 것이라고 봐야겠죠. 큰 해프닝이라도 있지 않고서는 협연자가 연주를 어떻게 했는지 정도가 기억에 남습니다. 이 곡의 연주는, 괜찮았던 것 같네요.





Antonio Vivaldi (1678-1741)

Violin Concerto <Four Seasons> Op.8

연주 : 서울교육대학교 에듀필 (2013 봄 연주회("봄"))


- 바이올린 연주자이기도 했던 비발디는 생애에 걸쳐 다수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하였고, 그 중 단연 가장 유명한 작품이 <사계>입니다. 이 작품은 4개의 협주곡이 모인 형태로, 본래는 12곡으로 구성된 <화성과 창의의 시도> 중 앞의 네 곡이었으나 이들이 큰 인기를 끌면서 따로 독립시켜 현재의 이름으로 부르게 된 것입니다. 각각의 곡은 빠른-느린-빠른 악장으로 구성된, 고전적 협주곡의 전형을 보여줍니다.


[후기] 바로크~고전파 정도까지 등장하는 오케스트라 첼로는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낮고, 주로 단순한 저음 반주를 맡게 됩니다. 당시 첼로 연주법은 지금과는 달라서 양 다리 사이에 낑겨놓고 연주를 하는 형태였고, 그런 불안정한 폼으로는 빠른 패시지를 연주하기 어려웠으니까요. <사계> 또한 첼로만 따로 떼어놓으면 첼로 교본 앞부분같은 단순한 모양이지만, 합주를 해 보면 아름다운 화음을 만들어준다는 게 신기할 따름입니다.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Symphony No.35 in D K.385 <Hafner>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3 봄 연주회/클라리넷)


- 비엔나로 진출한 이후 모차르트와 아버지(레오폴트 모차르트) 사이의 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었고, 아버지가 반대하는 결혼을 모차르트가 강행하면서 관계는 더 악화되었습니다. 이 상황에서 레오폴트는 잘츠부르크의 신흥 귀족인 하프너 가문으로부터 행사에 쓸 음악의 작곡을 의뢰받고, 이를 아들에게 전달하였습니다. 당시 모차르트는 <후궁으로부터의 탈출> 작곡에 매달려 있느라 상당히 바빴는데, 부자관계를 더 악화시키고 싶지는 않았기 때문에 급하게 세레나데 형식의 작품을 만들어 보내게 됩니다. 그런데 날림으로 만들었긴 하지만 작품 자체가 상당히 마음에 들었던지, 모차르트는 세레나데를 약간 손보아 교향곡으로 만들었고 그것이 지금 알려진 <하프너> 교향곡입니다.


[후기] 아마추어에서 클라리넷은 비교적 인원이 많기 때문에 어디 객원을 가는 게 쉽지 않죠. 그래도 배워둔 게 있으니 써먹을 기회는 생기게 되네요. Bb 클라리넷으로는 #이 많이 붙게 되지만 그래도 못해먹을 수준은 아닙니다.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La Clemenza di Tito> K.621 "Overture"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3 봄 연주회/클라리넷)


- <티토 황제의 자비>는 모차르트의 마지막 오페라로,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1698-1782)가 1734년에 쓴 희곡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실제 로마의 황제였던 티토(티투스, 재위 79-81)가 등장하는 이 작품은, 새로 오스트리아 왕위에 오른 레오폴트 2세(재위 1790-1792)가 프라하에서 거행한 대관식을 기념하기 위해 짧은 기간동안 만들어졌습니다. 전체적으로는 군주의 덕을 강조하는 줄거리로 되어 있는데, 직전에 프랑스 대혁명이 있었기 때문에 레오폴트 2세의 덕망을 강조하고 민심을 무마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주제가 상당히 고리타분한지라, 후세에는 오랫동안 인기 없는 작품이었다가 최근에야 재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후기] 서주가 없고 곡이 짧다는 건 바꿔 말하면 간결한 맛이 있다는 이야기도 될 겁니다. 전형적인 주제만큼이나 전형적인 모차르트 작품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모차르트는 언제나 우리를 배신하지 않으니까요.





Rebert Schumann (1810-1856)

Symphony No.4 in d Op.120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13 신입생 환영 연주회)


- 출판 순서상으로는 슈만의 교향곡 중 마지막 작품이지만, 실제로는 1번 교향곡 작곡 직후에 만들어진 두 번째 교향곡입니다. 슈만은 1841년 한 해에 걸쳐 세 개의 교향곡을 동시에 작곡하였는데(그 중 완성된 것은 두 곡) 1번 작곡 이후 세 달에 걸쳐 4번을 작곡하였습니다. 다만 얼마 뒤 초연을 한 이후 슈만은 10여 년 동안 이 작품을 묻어두었고, 이후 개정을 거쳐 출판하였는데 이미 3번 교향곡이 나온 이후라 4번을 부여받게 되었습니다. 특이점으로 1악장부터 4악장까지 모든 악장이 끊어지지 않는(attacca)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후기] 첼로 파트에서 기억에 남는 부분이라면 역시 4악장 중반부에 하이 B로 시작하는 솔로 부분이죠. 아무래도 오케스트라에서 자기 파트 솔로가 기억에 남게 마련 아니겠어요?




 

Georges Bizet (1838-1875)

<Carmen> Suite No.1, 2

연주 : 한양대학교 하나클랑 (2013 신입생 환영 연주회), 한국교사오케스트라 (2016 겨울 연주회(1번))

 

- <카르멘>은 비제의 마지막 오페라로, 프로스페르 메리메(1803-1870)가 쓴 동명의 소설을 모티브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작품은 1875년 초연되었지만 엄청난 혹평에 휩싸였는데, 소수민족인 집시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데다 결말이 살인으로 끝나버린다는 막장 스토리 때문이라고 하는군요. 다만 이 작품은 외국에서는 대성공을 거두었는데, 작곡가 자신은 실의 속에 같은 해 건강 악화로 사망했기 때문에 이러한 반전을 접하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현재 이 작품은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들 만큼 인기 있는 오페라로 꼽힙니다.

 

[후기] 역시 오페라는 멜로디라인이 명확한 곡들이 듣기 좋더군요. 이런 곡을 관악기로 연주해봐야 하는데.





Gustav Mahler (1860-1911)

Symphony No.1 in D

연주 : 한국 대학생 연합 오케스트라 KUCO (2013 겨울 연주회)

 

- 지휘자로 활동하면서 간간이 작곡을 병행하고 있던 말러가 처음 교향곡 작곡에 착수한 것은 대략 1884년 경으로 보이는데, 본격적인 작업은 라이프치히에서 지휘자로 활동하던 1888년 초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작품은 본래 장 폴 리히터(1763-1825)가 쓴 동명의 소설에서 따 온 <거인>이었고 표제가 붙은 2부 5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1889년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초연 때 대단한 혹평을 받은 이후 하나의 악장과 모든 표제를 삭제하고 4악장으로 바꾸어 1896년 베를린에서 다시 연주하였습니다.

 

[후기] 난이도는 둘째치고, 이 작품은 편성이 편성인지라(호른 7대라든지......) 아마추어 쪽에서 하려면 대단한 각오(와 돈)가 필요하죠. 그래도 클덕중에선 말러 좋아하는 사람이 많은지라 일단 연주를 하게 되면 정말 보람찬 작품이기도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