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mille Saint-seans (1835-1921)
Symphonic Poem <Danse Macabre> Op.40
연주 : 한국교사오케스트라 (2016 겨울 연주회)

 - <죽음의 무도>는 중세 말기 이래로 전해진 유럽의 괴담에 기원하고 있습니다. 중세 말기는 흑사병의 대유행 등으로 죽음에 대한 공포가 극에 달한 시기였고, 이 시기의 예술은 죽음을 소재로 한 경우가 많이 있었습니다. 그 가운데 시체들이 무덤에서 일어나 산 사람을 만나거나 무덤에서 춤추는 모습을 그린 미술작품이 이 시기 이래로 많이 만들어졌는데, 이들을 통칭하여 <죽음의 무도>라고 합니다. 이는 죽음의 보편성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 생상스의 이 작품도 그러한 흐름을 따르고 있는데, 직접적인 소재는 앙리 카잘리스(1840-1909)가 쓴 시에서 따 왔습니다. 시에서 따 온 작품이라 처음에는 성악곡으로 작곡하였는데, 이후 성악 파트를 바이올린 독주로 바꾸어 순수 관현악곡으로 만든 버전이 일반적으로 연주됩니다. '죽음'이 주제이긴 하지만, 해골들이 춤추고 노는 모습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한 것이라 곡의 분위기는 어둡거나 슬프지는 않습니다. 생상스는 이 작품의 선율을 <동물의 사육제>에 살짝 인용하여 써먹기도 하였습니다.


[후기] 이 작품을 언젠가 연주해본 줄 알았는데 아니었던 모양입니다(이 작품과 헷갈렸던 듯). 이 작품에서 상당히 인상깊었던 점이라면, 솔로 바이올린이 평소와 다른 음으로 튜닝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E현을 Eb로 튜닝해야 하는데, Eb 음을 개방현으로 소리내기 위해서지요(이러한 기법을 '스코르다투라'라고 합니다).




Giacomo Puccini (1858-1924)

"Musetta's Waltz" from <La Boheme>

연주 : 한국교사오케스트라 (2016 여름 연주회)


 - 오페라 <라 보엠>은 푸치니의 네 번째 오페라로 <나비부인>, <토스카> 등과 함께 그의 대표작으로 꼽힙니다. 주세페 지아코자(1847-1906)와 루이지 일리카(1857-1919)가 대본을 썼으며, 원작은 앙리 뮈르제(1822-1861)가 쓴 소설 <보헤미안들의 생활>입니다('보엠(Boheme)'은 '보헤미안'과 동의어). 다락방에서 함께 거주하는 예술가, 철학자들이 겪는 소박한 사건들을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 이 작품은 1896년 토리노에서 아르투로 토스카니니(1867-1957)의 지휘로 초연되었는데, 초연 때는 언론과 평론가들에게서 혹평을 받았지만 이후 그 진가를 인정받아, 현재는 이탈리아 베리스모(사실주의) 오페라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무제타의 왈츠"는 2막에 나오는 아리아로, 화가 마르첼로 앞에서 그가 사랑하는 무제타가 부르는 노래입니다.


[후기] 오페라는 평소 잘 듣지 않았기 때문에 특별히 쓸 만한 감상이 별로 없네요. 조만간 여건이 될 때 모차르트와 푸치니, 베르디의 오페라는 꼭 접해볼 생각입니다.




Iannis Xenakis (1922-2001)

<Metastasis>



 - 크세나키스는 그리스 출신의 건축가, 작곡가입니다(본업은 건축가). 출생지는 루마니아의 브러일라이며, 부모는 그리스계 인텔리 계층에 속해 있었습니다. 부모가 모두 음악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크세나키스는 어렸을 때부터 음악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5세 때 세상을 떠났고, 이는 그에게 큰 마음의 상처가 되었다고 합니다.


 - 크세나키스는 10세 때 그리스로 보내져 기숙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이후 1938년에 그는 아테네 공과대학에 입학하여 건축을 전공하였는데, 전공 교육을 받는 틈틈이 화성학과 대위법 등 음악 쪽 공부도 이어나갔습니다. 그런데 이듬해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그리스가 이탈리아와 독일의 연이은 침공으로 전쟁에 휘말려들자 그의 인생도 뒤흔들리게 됩니다.


 - 1941~1944년까지 계속된 추축국 점령기동안 크세나키스는 그리스 민족해방전선에 참여하여 저항군으로 활동하다가 부상을 입고 한쪽 눈을 실명하였습니다. 전쟁이 끝나고 학교로 돌아간 크세나키스는 간신히 학교를 졸업하고 학위를 받았는데, 이 무렵 좌우파의 대립이 외국의 개입을 등에 업고 내전으로 번지자(그리스 내전) 그는 그리스 민주군(좌파)에 참여하여 다시 전쟁에 나섰습니다.


 - 내전은 미국과 영국의 지원을 받은 우파 쪽의 승리로 끝났고, 좌파 계열 인사들이 대거 학살당하는 와중에 그는 가까스로 몸을 피하고 프랑스로 망명하였습니다. 망명지에서 크세나키스는 대건축가 르 코르뷔지에(1887-1965)의 조수로 들어가 활동하였고, 작곡을 더 배우기 위해 아르튀르 오네게르(1892-1955), 다리우스 미요(1892-1974) 등을 찾아갔지만 큰 성과는 없었습니다. 오히려 코르뷔지에가 그의 음악적 재능을 알아보고 높이 평가했다고 합니다.


 - 이후 크세나키스는 올리비에 메시앙(1908-1992)을 찾아갔고, 메시앙에게서 비로소 가능성을 인정받고 가르침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메시앙이 특히 높게 평가한 것은 크세나키스가 건축가이며 고급 수학을 배웠다는 것인데, 실제로 크세나키스는 확률론을 비롯한 각종 수학적 이론을 음악에 도입하여 독특한 음악적 세계를 만들어낸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 크세나키스는 1959년 코르뷔지에 사무실을 떠나 독립하였고, 이후 건축가와 작곡가로 활동하면서 인디애나 대학, 소르본 대학 등에서 강의를 하기도 했습니다. 그가 코르뷔지에 사무실에서 일하던 1958년에 사무실은 브뤼셀 엑스포의 전시관인 필립스관(館)을 설계하였는데, 크세나키스는 이 건물의 구조와 기술적 요소를 적극 활용한 <Metastasis(전이)>라는 작품을 발표하여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그가 작곡가로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Sophie-Carmen Eckhardt-Gramatté (1898(1899)-1974)

Symphony No.1 in C E.104



 - 이 비범한 ㅡㅡ; 이름을 가진 인물은 러시아계 캐나다인으로, 작곡가, 피아니스트, 바이올린 연주자로 활동하였습니다.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출생하였으며(출생연도가 1898년과 1899년으로 각기 다르게 적혀 있는데, 그레고리력(세계 표준)과 율리우스력(제정 러시아 사용)의 차이로 보입니다), 초명은 Sofia (Sonia) Fridman-Kochevskaya입니다. 어려서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여 8세에 파리 콘서바토리에 유학하였는데, 이곳에서 그는 바이올린과 피아노, 작곡을 트리플복수전공하게 됩니다.


 - 11세에는 파리, 제네바, 베를린을 순회하며 첫 번째 연주회를 열었는데,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번갈아가며 연주하여 화제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이후 음악가로 활발히 활동하던 그는 1920년 화가 발터 그라마테(1897-1929)와 결혼하였고, 이후에도 1925년 에드윈 피셔(1886-1960)와 독일에서 연주회를 여는 등 활동을 이어나갔습니다. 그런데 1929년 그는 남편을 결핵으로 잃고 말았습니다.


 - 이후 그는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가 자신의 첫 번째 피아노/바이올린 협주곡을 초연하였고, 1934년에는 저널리스트 겸 예술사학자인 페르디난트 에크하르트(1902-1995)와 재혼하였습니다. 1936~39년 사이에는 베를린에서 막스 트라프(1887-1971)에게 작곡을 배웠고, 이후 남편과 함께 비엔나로 이주하여 작곡가로 활동하였습니다(제2차 세계대전도 겪었을 텐데 이와 관련한 이야기를 찾기 어렵네요).


 - 1953년에는 다시 아메리카로 이주, 캐나다의 위니펙에 정착하여 여생을 보냈습니다. 이곳에서 그는 작곡 활동과 함께 음악 교육자로 활동하며 몇몇 학생을 지도하였습니다. 1974년 트럼펫 협주곡을 작업하던 도중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사고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교향곡은 2개가 있으며, 1번 교향곡은 1939년에 작곡하였습니다.



[전곡]


[문제의 4악장. 2009 비엔나 필하모닉 신년 콘서트]


Joseph Haydn (1732-1809)

Symphony No.45 in f# Hob I:45 <Farewell>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6 봄 연주회(4악장))


 - 하이든이 근무한 에스테르하지 악단은 여름 시즌에는 고용주인 에스테르하지 후작을 따라 가문의 여름 별장으로 장기 출장을 떠나곤 했습니다. 1772년에는 가을이 되었는데도 후작이 본궁으로 돌아가지 않는 바람에 악단도 별장에 발이 묶이게 되었는데, 하이든 등 몇 명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단원들이 가족과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불만이 이만저만 아니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를 후작에게 전하기 위하여, 하이든은 새로운 교향곡을 (당시에는 매우 드문) 올림바단조 조성으로 작곡하고 4악장에서는 연주자가 조명을 끄고 하나하나 나가버리는 퍼포먼스까지 선보였습니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차린 후작은 다음날로 악단에게 휴가를 주었다고 하는군요.


[후기] 앞으로는 앙코르 때 연주한 작품도 블로그에 함께 올리게 될 것 같습니다. <고별>의 핵심은 누가 뭐래도 4악장이고, 연주자가 중간중간 나가는 장면에서는 그냥 밋밋하게 퇴장해서는 참 재미가 없어지게 마련입니다. 그래서 보통은 청중이 웃을 만한 재미있는 퍼포먼스를 하나씩 준비하게 됩니다. 블로거는? 주머니에 숨겨둔 전화를 받으며 나갔지요.




Felix Mendelssohn-Bartholdy (1809-1847)

Violin Concerto in e Op.64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6 봄 연주회)


 -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총 2곡이 알려져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두 번째 작품이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번은 멘델스존이 유년기에 작곡한 것으로, 오랫동안 잊혀져 있다가 20세기 후반에야 재발견). 이 작품은 1843년부터 작곡이 진행되어 1845년에 초연이 이루어졌으니, 멘델스존이 사망하기 불과 2년 전에 완성된 후기 작품입니다. 베토벤, 브람스, 차이콥스키의 작품과 함께 최고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논할 때 빠지지 않는 걸작이기도 합니다. 전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3악장이지만, 각 악장이 끊어지지 않고 끝까지 이어지는 독특한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후기] 음악을 듣다 보면 작곡가의 인생이 그들의 작품에 얼마나, 어떤 형태로 투영되는가 생각하게 될 때가 있습니다. 멘델스존은 역대 클래식 음악 작곡가들 중에서 최강급의 금수저(?)였고, 경제적인 어려움은 평생 겪지 않고 산 사람이죠. 그의 음악세계는 고도의 세련미, 편안하고 밝은 느낌으로 정리할 수 있을텐데 아무래도 그가 처한 환경이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그나저나 이건 이전에도 어딘가에서 연주한 적이 있었던 것도 같은데 기억이 분명치 않네요.




Gioacchino Rossini (1792-1868)

<La Cenerentola> "Overture"

연주 : 서강대학교 ACES (2016 봄 연주회)


 - <신데렐라>는 본래 유럽 지역의 전래 동화로, 17세기 이후 여러 작가들이 나름대로 정리, 각색하여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에게 알려진 신데렐라 이야기는 대부분 프랑스를 대표하는 동화작가 샤를 페로(1628-1703)가 쓴 것이며, 특히 20세기에 디즈니 만화영화에 페로가 쓴 줄거리가 채택되면서 전 세계로 퍼지게 됩니다. 로시니의 오페라 역시 페로의 버전을 기초로 대본을 만들었으며, 로시니는 (늘상 그렇듯이) 마감에 쫓기며 불과 3주만에 전곡을 완성했다고 합니다. 이 곡은 여주인공 역할을 메조소프라노~콘트랄토에게 맡겼기 때문에 해당 파트의 가수가 드물어진 20세기 들어서는 거의 잊혀지다시피 했지만, 20세기 후반 들어 잊혀진 오페라들이 재조명될 때 함께 부활(?)하여 다시 상연되고 있습니다.


[후기] 이 작품을 MP3로 넣어놓고 많이 들어놓고서, 정작 곡 이름은 모르고 있었습니다. ㅡㅡ; 이제 로시니 서곡을 제법 많이 했다보니 이 곡도 전형적인 로시니 것이로구나...... 싶어집니다. 로시니가 고전파-낭만파 중간쯤에 있던 작곡가다보니, 첼로 같은 경우 곡 전반에서 고전파 스타일의 기계적인 부분들이 자주 나옵니다.





Friedrich Nietzsche (1844-1900)

<Hymnus an das Leben>


 - 프리드리히 니체는 현대 철학의 문을 연 역사적인 철학자로 기억되지만, 그의 삶은 음악과도 깊은 연관이 있었으며 실제로 어느 부분에서는 음악가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니체는 전문적 음악교육을 받은 적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어릴 적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여 왔으며 10대 때의 짧은 시기동안이나마 여러 작품을 작곡하기도 했습니다. 청년기 이후로는 철학 연구에 집중하느라 작곡에서는 멀어졌지만, 이후로도 음악은 그의 삶이나 사상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 니체는 1869년 스위스 바젤 대학교의 교수로 채용되었고, 이 무렵 스위스에 머물며 작곡활동을 하던 리하르트 바그너를 만나게 됩니다. 니체는 음악적으로나 사상적으로 완숙기에 접어들고 있었던 바그너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고, 여러 해 바그너와 깊은 교우관계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음악적으로도 새로운 자극을 받았는지, 중단했던 작곡 활동에 다시 손을 대어 몇 개의 작품을 작곡하기도 했습니다.


 - 다만 시간이 지나며 니체는 바그너를 차츰 멀리하게 되었는데, 이는 바그너의 사상에서 기독교나 반유대주의 등 니체가 받아들일 수 없는 요소들이 강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웃기게도 그의 사상은 사후 자신의 후처 코지마와 나치의 합작으로 반유대주의 사상인 것처럼 왜곡되었고, 이러한 오해는 지금도 남아 있습니다). 1880년대가 되면 니체는 역설적으로 격렬한 바그너 반대자가 되었고, <바그너의 경우>, <니체 대 바그너> 등의 저술을 통하여 바그너를 비판하게 됩니다.


 - 1882년경 니체는 작가이자 정신분석학자인 루 살로메(1861-1937)과 친교를 맺게 되었고, 살로메가 자신의 철학세계를 이해하는 데 반한 니체는 그에게 청혼을 하지만 곧바로 차이고 말았습니다. ㅡㅡ; 살로메의 회고에 따르면, 철학적으로야 깊은 교감을 나눌 수 있었지만, 자신보다 17세나 연상인데다 이미 이런저런 지병(매독, 사시, 치질 등)으로 건강이 악화되어가던 니체는 육체적으로는 도무지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 다만 두 사람은 철학적으로는 깊은 교감을 나누었고 이후 살로메의 동료인 파울 레에(1849-1901)와 함께 '철학적 교류만이 개재된' 3인 동거 생활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런데 니체는 살로메에 대해 미련을 버리지 못했고, 결국 얼마 뒤 두 번째로 청혼했다가 다시 거절당했으며 결국 동거 생활은 파탄나게 됩니다. ㅡㅡ; <삶을 위한 찬가>는 살로메의 시를 바탕으로 오케스트라 반주를 붙여 작곡한 합창곡으로 1887년 완성되었습니다.


+ Recent posts